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데기
뻔대기
뻔데기
d라이브러리
"
번대기
"(으)로 총 1,340건 검색되었습니다.
페트병 속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페트병 2개와 마개 2개로 미니 토네이도를 감상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보자. 페트병 속에 어떻게 회오리바람을 담을 수 있을까.■ 왜 그럴까?처음에는 페트병을 뒤집어도 물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아래쪽 페트병 속에 공기가 가득 차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쪽 페트병을 여러번 흔들 ...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누구나 지갑 속에 카드 서너장을 기본으로 갖고 다닌다. 카드로 볼록해지는 지갑이 불편하지만 다양한 혜택과 기능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이 모든 혜택을 단 한장으로 누릴 수 있다는 스마트카드가 출시돼 화제다. 그 개념과 원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건무는 버스의 빈자리에 앉자마자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금성탐사는 화려한 화성탐사에 가려있었다. 미국은 쓰다 남은 탐사선을 보냈고 카메라조차 실지 않기도 했다. 반면 옛소련은 숱하게 지옥같은 표면에 착륙까지 시도했고 끝내 성공했다. 탐사선들이 벗겨나간 금성의 참모습을 2회에 걸쳐 살펴보자.우리가 뜨거운 금성의 모습을 받아들인 것은 그리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최근 미항공우주국의 화성탐사선 오디세이가 화성 궤도에 진입한 후 본격적으로 활동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 그동안 화성탐사는 그리 순탄치 않았다는데…. 화성탐사선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미래를 만나보자. 지난 10월 23일 저녁 7시 26분(태평양 시간), 붉은 행성 화성의 상공에서는 조그마한 불꽃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겨울밤하늘은 유난히 화려하다. 밤이 깊어지면 고개를 들어 하늘을 쳐다보자. 무척 밝은 별 하나가 바로 머리 위에서 빛난다. 바로 목성이다. 이번달 더욱 밝아진 목성의 진면목을 만나자.밤하늘에는 많은 별들이 있다. 그 중 매우 밝은 별을 1등성이라 부른다. 겨울밤하늘에는 유달리 1등성이 많아 ... ...
1백년 전 시베리아 대폭발 새로운 설명 제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최근 이탈리아 천문학자들이 거의 1백여년 전 시베리아의 외딴 곳 퉁구스카에 일어난 엄청난 폭발의 비밀을 풀었다고 주장했다. 일명 퉁구스카 사건은 1908년 6월 30일 이른 아침 거대한 폭발과 눈부신 섬광으로 시작됐다. 수천km2에 달하는 지역에서 6만그루 이상의 나무들이 불타고 넘어졌다. 폭발력 ... ...
폭넓은 공부와 꼼꼼한 준비 부탁한 출제의도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올해 수능의 공통과학 평균점은 몇점이나 될까. 수능 문제를 출제하고 관리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예상한 바에 따르면 상위 50%의 평균이 1백점 만점에 80-82점이 돼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어떨까. 일선 교사와 수능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적어도 10-15점은 떨어질 ...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2050년 무렵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가 드디어 실현된다. 안정성과 경제성이 검증된 핵융합 발전소는 전세계에 보편화돼 대기, 수질 같은 환경이 좋아지고, 산업적 파급 효과도 커지는데…. 핵융합이 가져온 미래의 신세계에 숨어있는 비밀을 찾아보자.2068년 4월 18일 새벽 5시, 전화 벨소리가 연신 독신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지난 11월 7일 전국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다. 최근 3년간 치러진 수능 중에 가장 어렵다는 올해의 수능. 과연 공통과학 문제는 어떠했을까. 2002학년도 수능 과학탐구 영역의 출제 경향을 살펴보고, 문제점은 없는지 분석해보자.지난 11월 7일 전국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다. 지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1억도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초고온 플라스마를 어디에, 어떻게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가둘 수 있을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전도 자석 기술, 중성입자 빔 가열 기술 등 최첨단 기술이 힘을 합쳤다.핵분열, 핵융합과 같은 핵반응에서는 막대한 열과 빛의 형태로 에너지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