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d라이브러리
"
원자
"(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적인 구조를 갖는 물질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고리처럼 연결돼 있다는 뜻이다. 이후 보로메오 구조는 2010년 일본 연구진에 의해
원자
핵 사이에서도 발견됐다.한편 노르웨이공대의 수학자 닐스 바스 교수는 고리가 3개일 때뿐 아니라 4개 이상일 때도 브륀 연결구조가 만들어짐을 증명했다. 4개 이상의 고리로 연결된 구조는 ‘초구조’라고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조분의 1초)정도인 극히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일도 포착해 낼 수 있다. 이 정도 시간이면
원자
두개가 합쳐져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내는 순간까지도 관찰할 수 있다. 많을수록 좋지만 대규모 투자 신중하게대부분의 가속기는 저마다 특성이 있다. 활용할 수 있는 연구분야도 제각각 달라 국가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미세하게 다른 원소)로 이루어진 규소에서 순수하게 한 종류의 동위원소로 이뤄진 규소
원자
만을 얻어내기 어렵다는 게 문제다. [호주 정밀광학 연구소의 한 과학자가 1kg짜리 규소구를 들어보이고 있다.][미국 국립표준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와트 밸런스.] 플랑크 상수, 확실하나 복잡해 두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현대로 와보자. 20세기에는 기존 광학현미경의 분해능을 뛰어넘은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원자
힘현미경(AFM)이 등장하면서 ‘나노’라는 신세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과학자들은 자연이 숨겨놓은 비밀들을 좀 더 자세하게 밝혀낼 수 있었고 이렇게 얻은 지식을 통해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수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않으면 입자들이 내부 벽에 부딪치면서 에너지를 잃고 낮은 에너지 상태인 중성
원자
로 되돌아간다. 애써 만든 플라스마 상태가 금방 사라지는 것이다.이를 막기 위해 토카막 안에 자기력을 걸어준다. 플라스마는 자기력선을 따라 벽에 부딪치지 않고 계속해서 이동해 간다. 그전까지는 자기장을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인, 철이다. 이 중 철은 바다에 미량으로 존재한다. 식물 조직은 철
원자
1개마다 탄소
원자
10만 개가 반응해 만들어진다. 바다에 철을 충분히 공급한다면 해양식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1994년부터 15년 동안 약 12번의 철 비옥화 실험이 실시됐다.그러나 그 결과는 ... ...
우주 비밀 품은 '대칭'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대칭군과 우주 구조와의 관계를 풀어내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들기 때문이다.필자는
원자
의 기원을 찾기 위해 분투하는 물리학자와 화학자의 일대기를 다룬 ‘마법의 용광로’라는 책을 편집하면서 과학사 책은 독자들의 환영을 받기 어렵다는 사실을 체감했다. 그러나 이런 책을 원하는 독자는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신호 처리 장치)에 모인다. 세 전파망원경에는 모두 정밀도가 1000조 분의 1초인
원자
시계가 있어 신호가 도착한 시각을 기록한다. 이 시각을 바탕으로 각 전파망원경이 받은 신호를 한 군데 모아서 동시에 재생하면 선명하고 해상도가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세계 최초 네 주파수 동시 관측지름이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만 결정화가 안 되기 때문에 구제역바이러스처럼
원자
차원의 구조는 알 수 없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생활사는 다소 복잡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Part 1. 구제역 전파Part 2. 숙주 특이성Part 3. 백신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
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이용해 기존의 검출기보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