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누군가 간지럼을 태우면 웃음이 난다. 어떤 부위는 특히 더 간지럽다. 간지럼을 느끼는 원리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는데, 최근 실마리가 될 만 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즐거움을 느끼게 하기 위해 발달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1월 11
일자
에 발표됐다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120kPa의 압력이 가해져 화산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17
일자
에 발표한 바 있다.북한이 핵실험을 벌이는 풍계리는 지난 9월에 지진이 발생했던 양산단층대보다 훨씬 연약한, ‘길주-명천 지구대’라고 하는 대형 단층대와 불과 3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그리고 그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HIV 모계 전이를 줄이는 다채로운 방안들을 실험해 각각의 효과를 학술지 ‘에이즈’ 8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실험한 방안은 여성들을 어떻게 하면 병원에 더 자주 오게 하고 약을 먹을 수 있게 할지에 초점을 맞췄다.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산 전 진료소를 찾는 여성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 ...
[수학 뉴스] 중독성 강한 노래가 히트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픽미픽미 픽미업 픽미픽미 픽미업~♪’딱 한 번 들었을 뿐인데 중독되는 노래가 있죠. 처음 들었을 때 좋다고 느끼지도 않았는데 따라 부르기 쉬운 멜로디와 반복되는 후렴구 ...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11월 3
일자
에 실렸습니다 ... ...
[과학뉴스] 이제 소리도 홀로그램으로 즐기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홈 스테레오 시스템이 없어도 음향을 풍성하게 즐길 수 있을까. 최근 소리를 원하는 곳으로 모으거나 널리 퍼뜨릴 수 있는 ‘3차원 음향 홀로그램’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듀 ... 가상현실 체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14
일자
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여성과 남성, 공간지각 능력 차이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공간 지각 능력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는 실제 능력차가 아니라 고정 관념과 남성에게 유리한 검사 방식 때문이라는 연구 ... 이공계 분야에 진출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심리과학’ 9월 22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플라시보 효과를 담당하는 뇌 영역이 최초로 발견됐다. 미국 노스웨스턴 의대와 시카고 재활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으로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 17명 ... 지금 보다 훨씬 정확하게 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플로스 생물학’ 10월 27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최근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 ... 부작용이 적은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10월 5
일자
에 실렸다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남기지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붙였을 때 재를 남기지 않고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영국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 ...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7
일자
에 발표됐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