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을 거예요. 적어도 지구 질량은 70억 명의 사람보다 10조 배는 무겁거든요. 그래서 사람들이 한꺼번에 뛴다 해도 지구가 공전 궤도에서 이탈해서 화성과 가까워지는 일은 없을 거라 하네요! A 커피는 약 6~7세기, 아프리카 동부의 에티오피아 고원지대에서 ... ...
- 가짜뉴스와의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얼굴 사진 한 장만 있으면 원하는 표정과 움직임을 이미지로 생성해내는 기술을 2020년 공개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이미 음성신호 자연어 처리 AI를 이용해 배우 유인나의 목소리로 책을 읽어주는 서비스를 시연하기도 했다. 미국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비영리 AI 연구소인 ...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공계 지원자가 적어 이공계열 학과의 커트라인이 높지 않다. 독일은 성적 커트라인을 1.0(최상)~4.0(최하)으로 매기는데 아헨공대 기계공학과는 3.7 정도다. 그래서 그 유명한 아헨공대 기계공학과에 입학했다. 이때만 해도 대학 생활은 순탄하리라 생각했다. “지금 양옆에 친구를 보세요. 그중 한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상한이 리만 하한보다 크고 실제 정확한 넓이는 그 사이에 있겠죠? 직사각형의 밑변이 0에 가까울수록 두 값이 원래 넓이에 가까워지는 겁니다! 에고, 마크로 건물 하나 만들고 수학에 대한 설명이 구구절절 길었네요. 앞으로 여러분이 마크할 땐 수학동아 ‘퓨처TV’를 펴고 당당하게 외치세요. ... ...
- 자율주행차 안전성 높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차량사물통신(V2X)’ 기술에 주목하고 있어요. 이 기술은 2000년대 초부터 논의돼 2010년 7월 미국에선 차량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차량 이동 환경에서의 무선엑세스(WAVE)’가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WAVE는 통신 속도가 느려 차량끼리만 통신할 수 있어요. 그래서 연구자들은 차량이 다른 ... ...
- 지렁이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버톤(영국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 런던 자연사 박물관 연구원 연구원)“1850명의 시민 과학자와 함께 지렁이를 연구해요!” 영국엔 ‘지구사랑탐사대’처럼 지렁이로 시민참여과학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이들은 자신이 사는 곳 주변에서 지렁이를 찾고 어떤 종인지, 몇 마리였는지 등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견디기 위해 강력한 강도를 자랑하는 ‘타이타늄 합금’으로 제작되었어요. 수심 1만 4000m의 수압까지 견딜 수 있으며, 16시간의 잠수가 가능하지요. 빅터 베스코보는 이번 심해 탐사를 통해 심해 생명체 4종을 발견했어요. 하지만 이와 함께 비닐봉지와 사탕 봉지도 발견해 플라스틱 오염의 심각성을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읽는다뇌파는 의식이 있지만 움직일 수 없는 환자를 도울 때도 사용될 수 있어요. 지난 10월,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 알림 루이 베나비드 교수팀은 사지 마비 환자의 뇌파로 환자가 입고 있는 로봇의 팔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어요. 또, 지난 2월 한양대학교 임창환 교수팀은 의식은 있지만 ... ...
- 밴쿠버●미션, 거대한 나무 흔들다리를 건너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오랫동안 자랄 수 있지요. 캐필라노 현수교 공원에서 어린 나무는 300살, 늙은 나무는 1300살이 넘었다고 해요. 8세기 초,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 태어나 지금까지 사는 셈이죠. “여기 보세요! 나무 위에 다리가 있어요!”높은 나무 위를 살펴볼 수 있도록 공원의 나무 사이에는 다리가 걸려있어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력 발전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친구들은 직접 만든 전기로 인공지능 스피커를 켤 수 있는지 실험해 보았지요. 배터리 50개를 연결한 뒤 스피커의 전원 버튼을 누르자 스피커가 켜지고 어과동송이 흘러나왔어요. 이번 수업에 참여한 이도훈 기자는 “평소에도 전기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전기를 적게 사용하는 LED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