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학"(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 경주 기행을 다녀 왔습니다. 경주에는 길에 엄청나게 크고 많은 무덤(릉)들이 있었습니다.포스팅 l20160302
- 현상으로 소리가 울리며 아주예쁜 소리가 만들어집니다. 그렇게 예쁜 종소리 덕분에 한국학종 이라는 학과 가 생겼다네요. 일본의 학자도 인정한 가장에쁜 종소리 입니다.위 사진에 보이는 에밀레종 위에 있는 작은 통 모양은 잡음이 빠져나가는 통입니다.그리고 옛날에는 종밑이 파여있었다고 하네요. 이상입니다 ... ...
- 좀 늦었지만 올립니다. 어제 외할아버지 생신이어서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에 가서 쇼핑도 하고포스팅 l20160229
- 북쪽으로 좀더 가면 북한이라는 거!! 그래서 북한 조망을 볼수 있어요.두루미 다리에는 유래는 봄 (입춘) 이 되면 두루미 혹은 학이 날아와 스스로 서커스 (?) 를 한다는 유래가 있어요.아울렛은 A블럭,A블럭 -1블럭,B블럭,B블럭-1블럭이라서 헷갈리기도 하지만 즐거워요.여러분도 한번 가보세요. (날이 따듯해 지면 가세요ㅠㅠ) 여러분의 가족 나 ...
- 제가 오늘 만든 학 2마리에요. 주황색 학은 망쳤어요. ㅠㅠ포스팅 l20160211
- 제가 오늘 만든 학 2마리에요. 주황색 학은 망쳤어요. ㅠㅠ ...
- 경기도박물관 후기+퀴즈기사 l20160209
- 등에(등 배)있는 문양입니다. 운학 흉배는 구름 운에 학 학, 호표 흉배는 범 호에 표범 표자를 썼습니다. 당시의 학자인 문관에게는 운학 흉배를 붙여 주었고, 장군인 무관에게는 호표 흉배를 주었습니다. 그리고 상감 기법이란(나에게 운치쿠마가 빙의했다?!?!?!) 옛날의 유물인 고려 청자를 만들 ...
- 찾아가는 경기도 박물관기사 l20160203
- 경기도 남양주 부평초 1학년 정연우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을 신청한지 얼마 안되어서 경기도 박물관 프로그램 체험 수업에 당첨되어 경기도 박물관으로 갔다. 프로그램 이름은 '찾아가는 경기도 박물관'이다.첫 번째 수업은 '흉배'라는 연 ... 비누도 만들었다. 너무 신기했다. 선생님도 친절해서 수업을 듣기 좋았다. 흉배 티셔츠를 색칠하는 ...
- 청와대격학왔어요 대통령님도볼수있을까요?포스팅 l20160129
- 청와대격학왔어요 대통령님도볼수있을까요? ...
- 기자단을 신청한지 얼마 안되어서 경기도 박물관 프로그램 수업을 받으러 경기도 박물관으로 갔포스팅 l20160127
- 기자단을 신청한지 얼마 안되어서 경기도 박물관 프로그램 수업을 받으러 경기도 박물관으로 갔다. 프로그램 이름은 '찾아가는 경기도 박물관'이다. 첫 번째 수업은 '흉배'라는 연극을보는 것이다. 이 연극을 보고 흉배가 무엇인지 알았다. 흉 ... 비누도 만들었다. 너무 신기했다. 선생님도 친절해서 수업을 듣기 좋았다. 흉배 티셔츠를 색칠하는 시간도 있었는데 내 ...
- 무료체험을 다녀와서. . . 처음 제목을 봤을땐 '내가 찾아가탐사기록 l20160125
- 물론 부모님과 함께. 제일 먼저 역사 속 학과 호랑이라는 주제로 연극을 봤어요. 옛날 문관과 무관를 흉배로 알아 볼 수 있다더라구요. 학은 문관 호랑이는 무관. 티셔츠에 그림이 새겨져 있는데 하나씩 골라 직접 색칠도 해보는 체험도 했어요. 고려청자를 만든 상감기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이 방법으로 우리는 비누를 만들었어요. 작은 비누 ...
- 찾아가는 경기도 박물관 찾아가는 박물관기사 l20160125
- 유물도 봤다.그리고 마지막 수업으로 비누에 상감기법을 사용해 학을 그려 넣었다. 먼저 도장을 파는 조각칼 같은 것으로 비누에 학 모양으로 파고 색깔 비누를 넣은 다음, 위를 긁어 만들었다. 실제 상감기법은 도자기를 파고, 색깔 흙을 넣는다. 그 후 한 번 초벌구이를 한 후, 다시 한번 도자기를 굽는다. 그러면 광택도 더 나고, 크기 ...
- 찾아가는 경기도박물관 수업에 참여하였다. 흉배제도에 대한 연극을 본 후 흉배 티셔츠도 만탐사기록 l20160125
- 체험해보았다. 흉배제도는 단종 이후 문관과 무관을 구분하기 쉽도록 옷에 무늬를 새기는것이다. 모양은 네모 이고 문관은 학을 무관은 호랑이를 새겼다. 왕의 옷에는 모양이 둥글고 금색으로 용을 새겨 넣었다. 이때 발톱이 5개면 왕, 4개면 세자, 3개면 세손 이라고 한다. 상감기법은 고려청자를 만들때 사용했던 방법이다. 일단 도자기에 무늬를 넣어 ...
이전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