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뉴스
"
가설
"(으)로 총 1,0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자신의 과학적 지식과 상상력을 더하고 버무려 지구상에 생명체가 잉태되는 순간에 대한
가설
을 늘어놓는다. 1981년 처음 출간됐지만 현대에 들어 더 흥미롭게 들리는 ‘원조’ DNA 전문가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보자. 반니 제공 ■ 공기의 연금술 (토마스 헤이거 著, 반니 刊) 질소는 대기의 80%를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말이다. 그럼에도 이
가설
은 가로와 세로의 차이를 설명하지 못한다. 이밖에 몇 가지
가설
이 더 나와 있지만 그다지 설득력은 없다. ●심도를 얕게 하면 거리 추측에 도움 돼 고양이가 보는 세상.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하면 좌우는 심도가 깊어 초점거리(왼쪽아래 십자가)를 벗어나도 그다지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단백질 발현량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고민하던 보겔스타인 교수는 마침내 새로운
가설
을 내놓는다. 즉 p53은 원래 암 억제인자인데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기능을 잃어버리거나 거꾸로 발암인자가 될 수 있다는 것. 따라서 대장암세포의 경우 17번 염색체 하나는 p53 유전자가 떨어져 나가고 ... ...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 지방
과학동아
l
2015.08.31
베이지색지방이 생긴다는 건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
은 추운 상황과 운동하는 상황을 근육이 구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낮은 온도에 오래 있게 되면 근육은 저절로 떨게 된다. ‘떨림열’을 만들어 내기 위함이다. 근육의 입장에서는 추워서 떠는 것이나 운동을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버렸고 둘의 운명(순서)도 바뀌었다. 현재 ‘니스 모델’이라고 불리는 태양계 형성
가설
이다. 그래서일까. 해왕성은 천왕성과 유사한 점이 많다. 맨틀이 ‘얼음’ 형태의 가스형 행성이고 푸른빛을 띤다. 이런 색깔은 대기 중 미량의 메탄이 붉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천왕성의 대기가 ... ...
호킹 “물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저장”
2015.08.26
정보가 다시 나올 수 있다는 쪽으로 주장을 바꿨고 이번에 구체적인 원리에 대한
가설
을 발표한 것이다. 이기명 고등과학원 교수는 “호킹이 발표한 내용은 이미 1990년대에 다른 학자가 제시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새로운 결과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이어졌다는 것. 그러나 하면발효 맥주에 대한 기록은 14세기에 처음 나오기 때문에 이
가설
은 설득력이 약하다. 2014년 중국 연구진들은 중국과 티벳, 몽고에서도 유바야누스가 존재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따라서 파스토리아누스가 언제 어디서 태어났는가에 대한 논란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신경세포가 적어도 3번 이상 깜박거리며 여러 번에 걸쳐 물질을 분비했다. 김 단장은 “
가설
로만 제기되던 신경전달물질의 과정을 직접 관찰했다는 학문적 의미가 크다”면서 “의학분야에 적용하면 새로운 신경질환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되며 은하의 크기와 속도 등을 기초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가설
도 나왔다. 다시 이
가설
을 토대로 어느 시간에 폭발해 우주가 점점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 모델이 나왔다. 원자핵물리학과 전파천문학이 발전하며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게 돼 이 모델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렇듯 빅뱅 이론은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한다. 당시 연구를 이끈 김봉한 박사의 이름을 따 ‘봉한학설’이라고 부르는 이
가설
은 중국, 러시아, 일본 등에 소개돼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고 한다. 김 박사팀은 자체 개발한 염색약을 토끼의 경혈에 주입해 경락을 추적했고 전자현미경으로 경락(봉한관)을 촬영하기도 했다. 그런데 어찌된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