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087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 유골? 재조명 받는 ‘15cm 초소형 인간 유골’
팝뉴스
l
2016.04.02
크기의 ‘초소형 인간 유골’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외계인 혹은 초소형 인간의
흔적
으로 불리는 이 유골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유골은 수년 전부터 각종 언론 및 온라인 등을 통해 소개되면서 눈길을 끌었던 적이 있다. 그런데 다시 한 번, 해외 SNS에서 큰 주목을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2016.03.31
많다. 그런데 닭을 닮은 NGC6745는 작은 은하가 큰 나선은하에 진짜 충돌한 경우다. 충돌의
흔적
은 닭 몸통의 맨위쪽에 있는 파란빛 깃털에 남아 있다. 깃털뿐 아니라 머리도 파란빛이다. 작은 은하가 큰 은하에서 파란빛을 내는 부분을 뚫고 지나간 것이다. 파란빛을 내는 천체들은 모두 충돌의 결과로 ... ...
유해한 ‘메탄가스’를 유용한 ‘메탄올’로
2016.03.25
불린다. 메탄가스는 주로 유기체의 물질대사 과정에서 생성돼 화성 탐사에서는 생명체의
흔적
을 찾는 단서로 간주된다. 하지만 지구에서는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지구를 덮어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 역할을 한다. 소가 되새김질하는 과정에서 장내 박테리아가 음식물을 분해하고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2016.03.24
잔해의 비밀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케플러가 맨눈으로 발견한 초신성이 남긴 거품의
흔적
을 4백년이 지난 지금 최첨단 우주망원경 3대가 추적한다니 놀랍지 않은가.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코스모스 포토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330만 년 전 인류가 만든 석기가 공개돼 화제가 됐다. 발굴된 몸돌로 박편을 떼어낸
흔적
이 선명하다. - MPK-WTAP 제공 ● 돌도끼 제대로 만들려면 300시간 연습해야 그런데 최근 도구, 즉 석기의 사용이 인류진화의 원동력이었음을 보여주는 글이 미국의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4월호에 ... ...
명왕성 대기는 질소와 메탄, 지구의 물 순환과 흡사
2016.03.20
명왕성을 근접 비행할 당시 찍은 사진 속에는 마치 빙하가 지나간 것과 같은
흔적
이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이 지형이 명왕성 표면의 질소와 이산화탄소 때문에 생긴 것으로 추정했다. 명왕성 표면 온도가 약40K(영하 233.15도)로 상승하면 표면의 질소와 이산화탄소가 유동성을 갖게 돼 그 위의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
2016.03.15
stratum corneum)을 통과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Soft Matter’ 제공 ● 5㎛ 너머서는
흔적
안 보여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일자에는 젊은 시절 5년 반을 화장품 회사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리포솜의 피부 침투 메커니즘을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필자에게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 ...
“이재한 형사님, 과학수사 오류도 바로 잡아주세요”
2016.03.13
일(현지시간) 개최한 제251회 ‘ACS학술대회’에서 범행 현장에서 발견된 범죄자의 립스틱
흔적
을 분석해 어떤 브랜드의 립스틱을 사용했는지 알아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각 브랜드마다 립스틱의 성분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실제 범죄 사건에서 수색범위를 좁히는 데 활용될 수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연대가 8만~12만 년 전으로 추정됐다. 그때까지 중국에서 발굴된 가장 오래된 현생인류의
흔적
은 4만 년 전 것이었다. 참고로 유럽은 4만~4만5000년 전의 현생인류 증거가 가장 오래됐다. 따라서 일찌감치 아프리카를 떠난 현생인류가 새로 도착한 지역에 살고 있던 다른 인류와 혼혈됐을 가능성이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유전자 가위’로 불리기도 한다. 게놈편집이 이렇게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게놈에 ‘
흔적
’을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작물이나 가축의 특정 유전자를 바꿔 특성을 변화시키면서도 GMO 논란을 피해갈 수 있고 부모의 유전자에 결함이 있을 경우 배아 상태에서 정상 유전자로 편집할 수도 있기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