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본"(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성폭력은 어쩔 수 없다(?)는 변명 같지 않은 변명을 들을 때마다, 식욕이나 수면욕 같은 기본 욕구에 대해서도 통제하지 못하면 게으르다거나 자기 관리가 부족하다는 질타를 퍼붓는 사회에서 유독 남성의 성욕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는 현상이 흥미로웠다. 남성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8.02.27
- 교배해 얻은 만다린이다. 포멜로의 기여도가 높은 이유다. 그 뒤 키요미를 기본으로 해서 다양한 품종이 나왔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폰칸과 교배해 얻은 데코폰(Dekopon)으로 1990년대 우리나라에 들여오면서 한라봉이라는 한국식 이름을 붙였다. 한편 천혜향 역시 1984년 일본에서 개발한 품종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절제하는 흔한 예다. 만약 자기통제를 하나도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매너가 상실된 무뢰한 취급을 받게 될 것이다. 이렇게 자기통제는 목표 성취와 사회생활 등에 중요한 부분이지만 문제는 무조건 애쓴다고 해서 잘 되는 성격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컨대 식욕이라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변화를 적극 알리는 기사와 에세이를 여러 편 썼다. 현재 만연한 비만과 대사질환은 기본적으로 지속적인 영양과잉과 정적인 생활습관 때문이라고 보지만 굳이 따지자면 지방보다 당의 과잉섭취가 더 큰 문제라는데 공감하기 때문이다(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12년 7월호 ‘당 권하는 사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가는 결과물이 나온다). 이런 내용을 읽다보니 감칠맛 수용체가 밝혀졌다고 해서 무조건 기본맛으로 간주할 건 아니라는 저자의 주장에 공감이 됐다. 지방맛과 매운맛에 대한 내용도 꽤 흥미로웠지만 알고 있는 얘기도 좀 있었다. 그런데 칼슘맛은 생소한데다 이게 스무 가지 구강 감각들 가운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트레할로스가 쓰이고 있다. (사진=pixabay) 보통 당은 탄소원자 대여섯 개로 이뤄진 분자를 기본단위로 한다. 이런 분자 하나로 이뤄진 당을 단당류라고 부르는데 포도당과 과당이 대표적인 예다. 음식에 들어있는 당은 소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단당류로 분해돼 흡수된다. 단당류 두 개가 결합된 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우리나라는 국가주도의 체계적인 건강검진이 잘 돼 있는 것으로 유명한데 여기에 기본적인 유전자 검사를 덧붙이면 금상첨화일 거라는 생각이 든다. 내심 ‘내가 술이 약한 건가?’라고 생각하면서도 습관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당신은 Aldh2 변이형을 하나 갖고 있다’는 보고서를 받으면 ...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3
- 캘리포니아주립대 생화학과 교수는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영역이였던 창조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달리 볼 수 있게 만든 작품”이라며 “역사상 가장 많은 영감을 준 소설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발판으로) 프랑켄음식, 프랑켄세포라 할 수 있는 인공 물질이 탄생한 것”이라고 ... ...
- [지뇽뇽 사회심리] 자기 비하가 심하면 사랑도 멀어진다2017.12.09
- 사람으로 지각하는 긍정적 편향을 보인다. 따라서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다양한 관계에서 관계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Murray & Holmes, 1997). 상대방을 좋은 사람으로 높여주고 잘못이 있을 때 ‘너가 원래 그렇게 못되쳐먹은 사람일줄 알았다’며 날을 세우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생명체 37억 년 역사에서 DNA 염기 4가지가 아미노산 20가지와 단백질합성종결을 지정하는 기본 구조, 즉 센트럴도그마는 여전히 굳건하다. ● 발견하지 못하면 만들어서라도...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로운 생명체의 발견을 기다리다 지친 과학자들 가운데 몇몇(주로 화학자)은 이런 생명체를 직접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