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권
환경
d라이브러리
"
대기권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10
이르지 못하고 약 6.2km의 속도로 분리됐다. 예상고도보다 34㎞ 정도 더 올라가 분리되면서
대기권
에 진입했고 불타 소멸돼 브라질 연안에 떨어졌다.조사 결과 페어링 분리에 필요한 화약이 터지기 위해서는 고전압 전류가 출력돼야 하는데 방전현상이 발생해 216초에 화약이 폭발하지 않았다는 게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09
흐름이다. 따라서 태양풍 입자들은 자기력선을 따라서 지구의 양 극지역으로 들어온다.
대기권
안으로 들어온 전하 입자들은 대기의 중성 분자들과 부딪히면서 아름다운 오로라를 만든다. 오로라는 대략 북위 65~72˚ 사이에서 관측할 수 있다.]다만 미국 뉴욕을 왕복할 때 받는 방사선량이 가슴 X선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8
외계 충격 현상이 길어지면 유성이 터진 가루, 유성 떼를 싸고 들어온 우주 먼지가
대기권
에 쌓인다. 이 결과로 태양의 빛과 열이 차단돼 지구의 기온이 내려간다. 기존 통설에 따르면 천전리 바위그림의 무늬는 원시인의 소원을 담은 상징기호다. 그러나 외계충격 현상이 일어날 때 하늘에 펼쳐진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06
많다. 극지방에 속하는 지역에서는 구소련의 보스토크역이 1983년 영하 89.2℃를 기록했다.
대기권
까지 확장해 보자. 지상 50~80km 위인 중간권에서 기온은 영하 100℃까지 떨어진다. 우주로 넓혀보면 어떨까.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낮은 온도는 지구에서 15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부머랭 성운(위 사진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06
진행했다. 우주공간으로 일단 로켓을 내보낸 뒤 로켓 상단부에 실려 있던 캡슐이
대기권
을 뚫고 다시 지구로 돌아오도록 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이 실험에서 일본은 재돌입 캡슐의 열차폐막 온도측정, 압력측정, 공기마찰로 인한 감속도 정밀 측정 등 언제든지 ICBM 제작에 쓸 수 있는 기술을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05
이들과 순서가 다르다. [프랑스의 천문학자 카미유 플라마리옹이 1888년에 펴낸 책 ‘
대기권
: 일반기상학’에 실린 목판화. 15~16세기에 만들어진 작자미상의 작품이다. 중세의 선교사로 추정되는 인물이 하늘의 끝으로 나가고 있다. 오늘날 우주의 끝을 탐구하는 우리가 바로 이런 심정이 아닐까.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05
이뤄진 것은 아닐 것이다. 목성처럼 작은 바위 덩어리 위에 수소와 헬륨으로 이뤄진
대기권
이 있을 수도 있고 해왕성처럼 조금 더 큰 바위 덩어리 위에 매우 많은 물(바다)이 있을 수도 있다. 이 행성을 처음 발견한 하버드대 대학원생 재처리 베르타는 “이해하기 힘들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03
쓰면 연료가 낭비돼 위성 수명이 짧아진다. 수명이 다한 위성을 어떻게 고도를 낮춰
대기권
으로 떨어뜨릴 수 있을까. 큐브샛은 이런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다. 큐브샛의 최대 장점, 즉 비용이 싸기 때문이다.한 가지 아이디어가 위성 한쪽에 우산처럼 저항을 받게 하는 장치를 설치해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02
철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계측기에 사용됐다.포보스-그룬트의 임무는 화성의 자기권과
대기권
을 관찰하고, 화성의 위성 ‘포보스’에 착륙해 약 200g의 토양 샘플 채취 후 지구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잉훠-1호는 포보스-그룬트가 착륙하기 전에 분리돼 화성 궤도를 돌며 관찰정보를 보내올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02
Stream)’다. 북반구 중위도 지역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는 강한 바람이 제트 기류다.
대기권
상부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고도 약 10km 부근에서 발견된다. 제트 기류의 속도는 시속 100~200km에 이른다. 시베리아 기단이 세력을 확장하면 남쪽에 있는 따뜻한 공기와 만난다. 두 공기의 온도차가 클수록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