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선전화
무선
d라이브러리
"
무전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03
된다.폴리스틸렌(PS, polystylene)1930년경 독일에서 실용화되었고 특히 고주파특성이 우수해
무전
기 라디오 등 통신기기의 고주파절연재로 널리 쓰였다. 1937년 미국에서 처음 상업생산됐는데 공중합물을 합치면 현재 PE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다. 투명성 고주파절연성 단열성이 우수하며 착색이 쉽고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01
같은 전문을 발송했다. "미드웨이의 증류수공장 물 부족. 보급하라." 곧 이어 일본군의
무전
이 포착, 해독됐다. "적군 AF에서 물 부족". 이 한장의 전문으로 태평양전쟁의 승패는 그 방향을 바꾸기 시작했다.드디어 6월5일, 화창한 여름날 야마모토 장군이 이끄는 일본 최강의 연합함대는 미드웨이 ... ...
4 개인용전화기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110
어렵다.이외에도 무선통식방식은 통신보안을 유지하기가 유선방식보다 어렵다. 생활
무전
기의 경우 주파수만 맞추면 다른 사람의 통화 내용을 엿들을 수 있다. 통신개방 이후 국내 이동통신시장은 외국기업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미국의 AT&T 모토롤라를 비롯 일본의 NEC 도시바 마쓰시타 오키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10
것이다. 시간에 대한 도전은 소프트패스(soft pass)로 규정된다. 곧 전화 텔렉스 라디오 TV
무전
기 팩시밀리 컴퓨터 등의 통신수단과 통신망은 모두 사람이 이동하는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정보가 이동하는 소프트패스인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패스 곧 통신의 발달은 사람들을 시간적으로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07
있다는 장점도 있기는 하지만 이런 스틸비디오컬러사진을 송수신하는 이른바 트랜시버(
무전
송수신기)는 값이 대당 2만달러나 되었다.1986년 6월 캐논사가 최초의 전자스틸카메라 RC-701을 상품으로 내놓았을 때 미국과 일본에서는 사진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없다면 전자스틸카메라는 결코 밝은 ... ...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04
들고 다른 경비원과 교신하기 위해 트럭속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오전1시23분 별안간
무전
기로 부터 "빨리 이쪽으로 와!"라고 겁에 질린 말소리가 들려왔다.황조장은 재빨리 트럭에서 뛰어내렸다. 그리고 3백m 앞쪽에 있는 소리나는 곳을 바라보았다. 희미한 오렌지빛으로 빛나는 둥그렇고 거대한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02
2차대전의 무기중에서 과학적으로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점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무전
기와 레이다의 개발과 원자폭탄의 발명이라 하겠다.사실 과학의 발전과 과학 문명의 발전은 엄밀히 말하면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과학이란 기초과학을 이야기 하는 것이고, 이것이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02
조그마한 실험실을 차려놓고 물고기 개구리 등을 해부 해보기도 하고 라디오 경보기
무전
기 등의 부품을 조립해 완성해보기도 하는 등 여러가지 재미있는 실험을 하며 항상 과학자가 되겠다고 떠들고다녔다. 그러나 중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한국의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겪듯이 주위의 권유때문에 ... ...
등산 물건배달용으로 제격
과학동아
l
199011
침몰 때 무선구조 요청으로 7백여명이 구조됨으로써 그 가치가 입증됐다. 생활
무전
기도 앞으로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통신수단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10
한 사람이 수백개의 버튼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배 위와 육지에 있는 두 사람은
무전
기나 이중방식라디오를 통해 서로 교신한다.폭죽회사에서는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실제로 크고 작은 폭발사고가 종종 일어나기 때문이다. 1983년 그루치사의 연구소에서도 폭발사고가 발생, 세사람의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