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nasa
d라이브러리
"
미항공우주국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공간에 있는 거대 다이아몬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6
있을 정도로 천연 다이아몬드는 흔치 않다.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을까. 지난 4월 22일
미항공우주국
(NASA)은 허블우주망원경 탄생 14주년을 맞아 다이아몬드 팔찌를 연상시키는 천체 사진을 공개했다. 4월의 탄생석이 다이아몬드니 시기적으로도 맞아 떨어진다. 사진에서 파란빛을 뿜어내는 ... ...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아직 시험중
과학동아
l
200406
발표된 일반상대성이론은 아인슈타인이 바라보는 우주에 대한 이론이다. 지난 4월 21일
미항공우주국
(NASA)은 이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특별한 위성을 발사했다. 과연 무엇을 검증한다는 것일까. 그리고 어떻게 검증한다는 것일까? 아직도 아인슈타인의 우주는 시험을 치르는 중이다.▼관련기사를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06
전직 미 중앙정보국(CIA) 요원이자 미 해군사관학교 교수인 라이언은 어느날 테러 사건에 휘말린다. 이 때문에 다시 CIA에 복귀한 그는 얼마뒤 정보국 지하벙커에 있는 작전지휘소로 호출된다. 한쪽 벽면을 가득 차지한 모니터 화면에 곧 불이 들어오자 지상 2백50km 상공에 떠있는 첩보위성이 보내온 ... ...
퀴즈와 애니메이션으로 원리를 이해하는 brainpop.com
과학동아
l
200405
온가족이 자동차를 타고 동물원이나 유원지로 놀러가는 풍경이 당연할 정도로 자동차가 필수품이 된지 오래다. 자동차 이용이 많을수록 자동차 안전에 대한 중요성은 더 커진다. 안전벨트와 에어백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안전을 책임지는 최후의 보루다. 그런데 사고가 났을 때 에어백은 어떻게 ... ...
서울-LA 1시간 비행시대 예고
과학동아
l
200405
지난 3월 27일 미 항공우주국(NASA)의 시험비행기 X-43A가 시속 8천km를 돌파했다. 이는 마하 7, 즉 음속의 7배에 해당하는 항공기 사상 최고의 속도. X-43의 성공은 새로운 추진기관인 초음속연소 램제트엔진(Supersonic Ramjet Engine, 줄여서 스크램제트 엔진) 덕분이다. 스크램제트 엔진(Scramjet Engine)을 이용 ...
“이것이 초기 우주”
과학동아
l
200404
탄생한지 수억년밖에 안된 시기의 모습이 처음 관측됐다.
미항공우주국
(NASA)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I)는 허블우주망원경이 하늘의 일부 지점을 4개월 동안 1백만초 이상 촬영해 1만개의 은하들을 발견했다고 3월 9일 밝혔다. 스티븐 베크위드 STSI 소장은 “우리는 과거의 어느 누구보다 더 어둡고 먼 ... ...
독심술 기계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04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됐다. 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 3월 4일자는
미항공우주국
(NASA) 연구팀이 얼굴 부위에 붙이는 작은 센서로 사람의 생각을 읽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보도했다.연구팀은 혀와 목구멍, 목소리에서 신경신호를 잡아내기 위해 사람의 뺨과 인후 부분에 단추 크기의 ... ...
세드나, 행성여부 뜨거운 논란
과학동아
l
200404
행성’인 명왕성이 애꿎게 행성자격을 박탈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이번 발견을 주도한
미항공우주국
(NASA)과 캘리포니아공대 천문학자들은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이 천체는 1930년 명왕성이 발견된 이래 가장 큰 것이지만 지름 2천3백60km인 명왕성의 4분의 3 크기”라며 “진짜 행성은 아니고 ... ...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04
Starry Night).우주에도 고흐의 이 명작을 닮은 현상이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지난 3월 4일
미항공우주국
(NASA)은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과 놀랄 만큼 비슷하다며 천체사진 한장을 공개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의 고성능카메라(ACS)가 지난 2월 8일에 찍은 이 사진에는 수조km의 우주공간에 걸쳐 점점이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04
호주에서 충돌 크레이터를 조사하던 중에 자동차사고로 죽었다. 그의 유해는 화장된 뒤
미항공우주국
(NASA)의 달 탐사선 ‘루나 프로스펙터’에 실렸다. 1999년 루나 프로스펙터가 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달 남극 근처의 한 크레이터에 충돌하면서 그의 유해는 인류 최초로 달 크레이터 속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