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
수학동아
l
201510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실험을 시작했다. 그러다 1883년 높은 온도로 가열된 금속이나
반도체
표면에서 전자가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됐다.곧바로 전구 안의 필라멘트 옆에 금속판을 놓고 실험했다. 이때 금속판은 필라멘트보다 전자가 부족한 상태였다. 이 상태로 전구 안에 전류가 흐르자 필라멘트는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
받았답니다.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은
반도체
나 액정 등 다양한 곳에 쓰일 수 있어요.
반도체
에 들어가는 비싼 금속을 대신하거나 더 가벼운 액정에 사용돼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답니다.열을 전달하는 플라스틱열을 전달하는 플라스틱도 있어요. 최근 미국 미시간대학교 김진상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09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했다. 이렇게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지금도 군사, 자동차,
반도체
, 의학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풀러렌은 1985년까지 발견되지 않았지만, 사실 ‘불’이 발견되면서 만들어진 물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동안 어느 누구도 관심도 받지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07
반도체
와 부도체를 차례로 쌓은 구조에서 초전도현상이 발견되기도 해요. LED 같은
반도체
소자 대부분도 이종구조로 이뤄져 있어요. 그만큼 2차원물질 이종구조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답니다.예전의 전 자신감이 없었어요. 단순하고 밋밋한 제 모습과는 달리, 뭔가 있어보이는 3차원이나 4차원 같은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7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컴퓨터 성능이 곧 한계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칩 용량이 18개월에 2배씩 향상된다는 ‘무어의 법칙’이 수십 년 안에 끝날 것으로 본다.이런 한계를 타파하기 위해 다양한 컴퓨터가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성능이 기대에 못 미친다. 미국 IBM사는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7
양자점 TV입니다. 양자점은 지름이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로 작은 나노입자로 구성된
반도체
입니다. 빛을 비추면 나노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다시 발산하죠. 양자점 TV는 이런 나노입자의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어 아주 섬세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LCD TV에서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507
옛날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세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반도체
의 성능도 정확하게 맞추고 불량률도 낮출수 있어요.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낳지요.”더구나 미래에는 전자 하나를 이용한 전자소자가 개발될 것이다. 양자컴퓨터나 양자정보통신 기술 말이다. 이른바 양자공학의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06
한 바퀴 돌아야 전기가 생긴다. 이때 전자를 움직이게 하는 힘도 에너지 준위의 차이다.
반도체
의 전도밴드는 태양전지에서 가장 높은 산에 비유할 수 있다. 자유전자는 가장 높은 산에서 회로의 그 다음으로 높은 산으로 움직이며 한 바퀴 돈 뒤 원래 있던 가전자밴드로 돌아오게 된다(73페이지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06
양쪽을 기 계가 물리적으로 잡고 있었는데 자칫하면 기판에 균 열이 생길 수 있다.
반도체
밑에 딱 붙는 패드를 사용 하고 나서는 이런 위험이 사라졌다. “지금까지는 연구 자체가 재밌어서 했는데, 앞으로는 실제 산업이나 생 활에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입니다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06
에너지 재료를 선택한 이유는.굉장히 우연한 기회였어요. 제가 MIT에서 유학을 할 당시엔
반도체
가 뜨는 분야였어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쪽으로 진학했어요. 하지만 IMF로 사정이 나빠져 저는 장학금을 주는 교수님 연구실로 들어가게 됐죠. 근데 그 교수님이 에너지 재료를 연구하는 교수님이었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