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꼭대기
산머리
산봉우리
d라이브러리
"
산정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10
장대한 화산동굴이 발달되게 마련이다. 유동성이 큰 흘거운 용암일수록 분출된 분화구의
산정
부근에 남아 있지 않고 산기슭 밑으로 흘러내려가게 되는데 제주도의 경우에는 서북쪽과 동북쪽사면으로 흘러내려 멀리 해안지역까지 동굴이 계속되고 있다. 즉 마그마가 화도(火道)를 따라 올라와 ... ...
서울의 교통체계 8각형 교차로, 도시교통의 장애물
과학동아
l
198607
은 길 자체의 용량에 그 길이 청신호를 몇초 동안이나 받는지 그 청신호 비율을 곱하여
산정
한다.예를 들어 1차선 도로는 모두가 승용차라고 가정한다면 한 시간에 약 2천2백대를 통과시킨다. 그러나 교차로에서 청신호를 신호1주기 1백초 동안 50초를 받는다면 그 길은 한시간에 1천1백대만을 ... ...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06
생긴 습곡이 길이 1천km, 폭 1백 60km의 알프스산맥이다. 지질과학자들은 알프스
산정
의 암석을 채집하여 알프스의 복잡한 구조를 밝혀냈다. 5백만년전에 이 지대에는 산맥이 없었다. 오늘의 알프스는 약3백만년 전에 상승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현재도 연간 1~2mm씩 상승하고 있다. 알프스의 산들이 ... ...
케이블TV와 통신위성
과학동아
l
198605
그러나 우리나라 같이 복잡한 산형(山形)이 도처에 있는 곳에선 곳곳에다 불편한
산정
(山頂)을 찾아가 TV탑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기도 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한국전토에 난시청(難視聽)지역을 완전히 없애려면 보통 힘이 드는 일이 아니다. 그래서 방송위성(放送衛星)이란 착상이 떠 올랐다. ... ...
인도
과학동아
l
198605
적어져 건조하여 밀이 재배된다.반도중간부에 펼쳐진 1백60만km²의 데칸고원에는 잔구,
산정
평탄면, 협곡과 하곡 등이 전개되어 있다. 이 고원의 북서부를 북동에서 남서로 달리는 아라발리산지는 오래된 습곡산지 유물이다. 서 고츠산맥이 고원의 서단에서 남북으로 걸쳐져 있고 아라비아해 사면과 ... ...
특산식물과 사라져가는 희귀식물들
과학동아
l
198604
군락을 이루고 있고, 설악산에도 무성하므로 특산은 아니다. 오히려 이 나무가 많은 설악
산정
에는 우리나라 특산이랄 수 있는 설악눈주목이 있다. 이 설악눈주목은 늙은 나무 몇그루밖에 없어 멸종이 우려된다. 설악눈주목과 함께 자라고 있는 눈잣나무도 희귀수종이다. 멸종 직전의 갯대추와 ... ...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8604
좁은잎백산차 설앵초 산솜다리 구름국화 화살곰취 비로용담등을 포함하여 40여종은
산정
부근의 지표면에 붙어 있는 아주 작은 종류들이다.쉬땅나무 금매화 묏황기 큰꿩의비듬 황산차 큰송이풀 털개피나무 등을 포함한 40여 종류는 크게 왜소화되지 않았으나 2천m이상의 고산에 무리를 이루어 ... ...
꽃은 언제 어떻게 피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04
때마다 섭씨0.5~0.6도씩 낮아진다고 한다. 한라산의 높이가 1천 9백50m쯤 되므로 산록과
산정
의 기온차는 10여도가 될 것이다.한라산이나 지리산 설악산의 정상부근에서 피는 진달래는 산록에 나는 진달래에 비하면 잎이 작고 털이 많으며 꽃색갈이 진하다. 이는 장구한 세월속에서 특이한 환경 아래 ... ...
공해마을 온산
과학동아
l
198603
보상했으며, 82년 부터는 온산공단협회에서 부산수산대학에 조사를 의뢰하여 보상액을
산정
하였다. 77년 이후 84년까지 이루어진 공해피해 보상액은 총 27건에 15억 7천 8백여만원에 달한다 (표 4). 울산과 달리 온산의 경우는 수질오염에 의한 수산물 피해의 액수가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이런 ... ...
산
과학동아
l
198602
여기 저기에서 목욕하기에 아주 알맞는 약 섭씨 30도의 온천수가 솟아오르고 있다.
산정
인 칼데라를 중심으로 반경 약 60㎞ 지역의 지표면을 백색 부석층으로 덮고 있어 아마 백두산이란 이름이 생긴 것이라 생각된다. 부석층이 두꺼운 것은 40m를 넘는 데도 있지만 평균 약 10~20m로 측정되며 어떤 ... ...
이전
4
5
6
7
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