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밖"(으)로 총 2,9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12
- 안녕하세요, 저는 전시를 기획한 큐레이터입니다. 이번에 전시한 17세기 네덜란드 회화 작품에는 특별한 도구가 이용됐어요. 바로 빛과 거울이에요. 빛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고, 거울로 빛을 반사해 자화상을 그렸다는 말입니다. 믿기지 않는다고요? 지금부터 저를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12
- 프랙탈 차원에 따라 약물 효과적으로 퍼뜨려근육주사는 맞고 나서 약물이 잘 퍼지도록 문질러야 한다. 하지만 혈관에 맞는 주사는 문지를 필요가 없다. 오히려 문질렀다가는 시퍼런 멍이 들기 마련이다. 조직마다 특성이 달라 약물이 퍼지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윤휘열 충남대 약대 교수팀은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12
- 시즌 7까지 방영되며 인기리에 종영한 미국 수사 드라마 ‘멘탈리스트’와 시즌 3로 막을 내린 ‘라이 투 미’는 모두 사람의 미세한 표정 변화와 심리를 통해 범인을 잡는 심리추리극입니다. 드라마에서는 아주 사소하게 보이는 단어를 선택해 범인에게 자백을 받아내기도 하고, 폭탄 테러범의 미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고독한 육상 선수를 찾는 외로운 주자 추측수학동아 l201611
- 올해 6월 수학계에는 한바탕 소동이 있었습니다. 한 수학자가 달랑 하루 만에 정수론 분야의 40년 난제를 풀었다면서 인터넷에 논문을 공개했다가 오류가 있다며 철회한 일입니다. 수식 마지막에서 아주 사소한 실수를 했고, 이것이 증명을 송두리째 틀리게 만든 겁니다. 대체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11
- “속도와 시간 개념이 없다면 애초에 역설적인 문제예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를 생각해야지요. 10초 동안 아킬레스가 100m 이동할 때 거북은 10m 앞서나가고 있겠지요. 이 10m는 아킬레스가 1초 만에 따라잡을 수 있어요. 그동안 거북은 1m 다시 앞서겠네요. 그리고 아킬레스가 0.1초 만에 다시 1m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습도와 기온이 같이 올라가는 계절이면 숲 속 여기저기서 얼굴을 내미는 반가운 친구들이 있어요. 길거나 둥근 자루, 형형색색 다채로운 갓, 향긋한 맛과 다양한 효능을 자랑하는 버섯들이지요. 역사 속 기록을 보면 사람들이 오랜 기간 동안 버섯을 여러 분야에 걸쳐서 이용한 것을 알 수 있어요.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11
- 최근 생명과학계에 ‘작은 RNA’ 바람이 거세다.고작 20개 안팎에 불과한 염기서열이 암세포를 저격하고, 해로운 농약 없이도 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보호할 수 있단다. 염기서열 20개가 무슨 일을 하기에 이처럼 놀라운 위력을 발휘하는 걸까.1993년. 당시 하버드대 소속(현재는 매사추세츠 의대) 빅터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11
- 지난 해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수는 전체 가구의 25%를 훌쩍 넘는 520만 명이다. 사회가 점차 고령화되고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1인 가구가 부쩍 늘어났기 때문이다. 문제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외로움’이다. 올해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11
- 머릿속에 그려지는 수많은 공식을 세상 밖으로 펼쳐 보이고 싶었던 인도 빈민가의 수학 천재 라마누잔. 운명적으로 라마누잔의 천재성을 알아본 영국 왕립학회의 괴짜 수학자 하디 교수를 만나게 된다. 그렇게 만난 두 사람은 이제껏 증명하지 못한 수많은 공식을 증명해낸다.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11
- 미남, 미녀를 가리는 기준으로 얼굴의 좌우 대칭을 들기도 하죠? 아름다움의 기준은 수학에서도 똑같이 적용돼요. 수학자는 점 대칭, 선 대칭, 거울 대칭, 회전 대칭 등 대칭이 많은 도형을 아름답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대칭이 가장 많은 도형이 무엇인지 찾는 연구를 했어요.이번 호에서는 어떤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