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울특별시
서울
d라이브러리
"
서울시
"(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현상이야. 빨갛게 바다를 물들이는 적조 현상과 대비해서 녹조 현상이라고 불러.
서울시
는 지난 8월 9일 한강 물속을 조사해 엽록소 농도를 나타내는클로로필-에이와 남조류 세포 수가 2주 연속 물 1L에 15㎎과 1㎖에 500개 이상을 넘어 조류주의보를 발령했지. 일주일 만에 냄새 물질인 지오스민을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4
넣고 태워서 나오는 연기로 모기를 잡는 장비랍니다. 이런 반짝이는 아이디어들로
서울시
에서 희망서울창의상도 받으셨어요. 은행잎에는 프라보노이드, 터페노이드 같은 살충 성분이 20여 가지나 들어있어 살충 효과가 커요. 플라스틱 통에 들어 있는 건 은행잎을갈아서 가루로 만든 뒤 압축해 ... ...
천문학자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212
천문학은 없다 또 중요한 것이 연구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는 것이다.
서울시
교향악단을 지휘하는 마에스트로 정명훈이라도 지휘대를 내려가 직접 팀파니를 치거나 플롯을 분다면 그렇게 멋진 소리를 낼 수는 없다. 악성 베토벤이 환생을 하더라도 갑자기 우리 앞에서 정경화처럼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09
물(10억L)에 냄새 물질 20g이 섞인 정도)다. 하지만 8ng/L만 들어 있어도 냄새가 나기 때문에
서울시
는 내부 가이드라인을 정해 8ng/L 수준을 목표로 처리하고 있다. 한강취수원에서는 겨울철에 보통 2~3ng/L 수준이 검출돼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작년 12월 갑자기 뚜렷한 이유 없이 200ng/L 수준으로 높아졌다.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6
고깃집 연기에도 미세먼지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이준복 박사는
서울시
내 공기 중 약2.9%(연간 513톤)의 미세먼지가 고깃집에서 배출하는 연기에서 발생한다고 했어. 이 연기 속에는 미세먼지와 함께 포름알데히드와 중금속도 포함돼 있대. 식당에서 불고기를 구울 때 미세먼지 농도가 굽기 ... ...
화마 잡는 골목대장, 골목소방차
과학동아
l
201205
외벽, 컨테이너, 특수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
는 골목소방차를 노원, 광진 등 서울 동북지역과 강동, 송파 등 동남지역에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작은 고추의 매운 맛으로 화재를 빠르게 진압하는 골목소방차의 활약을 기대해 보자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04
이 함정에 빠질 염려가 없었다.“만일 상을 받아 의대를 가려고 했다면, 제가 3학년 때
서울시
수학·과학 경시대회에 나간 건 미친 짓이나 다름없어요. 거의 과학고 2학년이 보는 시험이에요. 그렇지만 저는 그냥 좋아서 공부했고 계속 공부하는 것이니 시험도 보고 그러는 것입니다.”이런 하영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03
역사문화유산의 의미를 찾는 계획이다.“원래 계획과 조금 다른 방향으로 진행됐지만
서울시
에 도시 디자인 전담부서가 생기는 등 도시를 디자인한다는 개념이 세워졌죠.”‘아산시 근대산업유산활용 창작벨트 조성사업 마스터플랜’도 같은 맥락이다. 도고읍내중심가는 1970년대 지어진 중국집과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02
제기는 오해로 밝혀졌다. 환경부는 “한강 밤섬의 람사르 습지 등록은 지난 2010년 7월
서울시
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현재 밤섬에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매와 2급인 큰기러기를 비롯해 582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지난해 지정된 제주도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02
잔류염소 4.0mg/L, 총트리할로메탄 0.1mg/L, 클로로포름 0.08mg/L처럼 수질기준을 정해놓았다.
서울시
는 “이 기준을 넘지 않는 물은 하루에 2L씩 70년간 마셔도 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스위스는 가정집마다 하수 처리 시스템을 도입해 ‘버리는 물’마저 비교적 깨끗한 상태로 하수구에 흘러가도록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