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d라이브러리
"
셀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4
그래서 그는 구를 뒤집는 과정을 점토로 빚어 사람들에게 설명해 주었다. 모랑은
셀
수 없이 많은 띠가 모여 하나의 구를 이룬다고 생각했다. 띠들은 무한대로 구부러지거나 늘어날 수 있고, 절대 끊어지지 않으면서 서로 통과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그는 구의 위아래 점이 서로 자리를 바꾸고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504
1769∼1832)와 무척추동물학자 장바티스트 라마르크(1744∼1829)가 고생물학을, 요한 헤
셀
(1796~1872)이 광물학과 암석학을 확립했다. 영국의 찰스 라이엘(1797~1875)은 불후의 명저 ‘지질학의 원리(Principles of Geology)’를 통해 지질학을 체계화했다.이뿐만이 아니다. 응용 면에서도 가치가 대단히 크다. 미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
과학동아
l
201504
SK텔레콤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를 받아활동인구를 분석했다. 수도권을 89만 개의
셀
(구역)로 나누고(
셀
면적은 50m x 50m) 모바일 폰 사용자가 이동하는 패턴을 분석했다.*활동지수 = 각 시간대 활동인구 수 ÷ 한 주 중 최대 활동인구 수.활동지수가 가장 높은 금요일을 100%로 가정했다.Tip 2 강남역 ... ...
[과학뉴스] 1주일 만에 환자맞춤형 신경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03
성공했다. 강경선 서울대 수의대 교수와 강스템바이오텍 줄기세포·재생의학 연구소는 ‘
셀
리포트(Cell Reports)’ 1월 15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HMGA2와 SOX2 유전자를 환자 체세포에 넣어 1~2주 만에 신경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차세대 줄기세포 제작기술인 ‘직접교차분화’를 ...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
수학동아
l
201503
위상동형이다.아무리 복잡하게 생긴 도형이라도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만
셀
줄 알면 어떤 위상동형을 갖는지 알 수 있다. 김 교수는 오일러 특성수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즉석에서 청중에게 문제를 내기도 했다. 처음엔 답을 말하는 목소리가 적었지만, 문제가 이어질수록 자신 있게 정답을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02
형태를 모두 구하고, 그 위에 색을 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셀
수 없이 많은 경우의 수를
셀
수 있는 형태로 단순화시키는 게 핵심이었다.아펠과 하켄은 컴퓨터의 힘을 빌리기로 한다. 컴퓨터는 무한히 많은 모양을 1936개로 단순화시키고 다시 이것이 정확한지 일일이 검사했다. 무려 50일에 걸친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2
봉지 감자칩은 처음 감자칩이 등장하고 수십 년도 더 지난 1910년에야 등장했다. ‘마이크-
셀
감자칩 회사’라는 작은 회사에서 왁스로 코팅한 종이봉투에 감자칩을 담아 판 것이다. 다만 이 봉지 감자칩은 순수하게 감자를 튀겼을 뿐 소금을 치거나 양념을 뿌리지 않았다.1940년대 감자칩 ... ...
[과학뉴스] 전령RNA 사라지는 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1501
교수가 전령RNA가 분해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효소와 과정을 찾아 학술지 ‘
셀
’ 12월 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서 아데닌 꼬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김 교수팀은 이전 연구에서 분해 과정에 아데닌 꼬리 외에 유리딘 꼬리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 ...
돌아온 배달의 달인 ‘산타다 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4
선물 개수랑 받은 아이들의 수가 딱~ 맞아야 한다는 거. 그럼 선물 개수 정도는 아주 쉽게
셀
수 있겠지?”가장 먼저 선물의 개수를 세야 한다고? 너무 쉬운 문제였다.“하하, 그 정도는 누워서 떡 먹기죠~!”썰렁홈즈가 자신만만하게 말했다. 과연 그럴까?미션2 썰매 끌 사슴은 누구?“선물을 모두 ... ...
찰흙으로 전기를 저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4
더 얇고 변형이 쉬우면서도 용량이 더 큰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드렉
셀
공과대학교 유리 고고씨 박사 연구팀이 전기 전도성이 높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바꿀 수 있는 ‘찰흙 전지’를 개발했어요.이 찰흙 전지는 ‘엠진’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졌어요. 엠진은 금속처럼 전기가 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