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으)로 총 1,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12
- 2015년 12월 3일 오후 6시 50분, 박승래 충남 당진소방서 현장지휘팀장은 경기 평택소방서의 연락을 받고 서해대교로 출동했다. 최초 화재 신고가 평택소방서로 접수된 지 40여 분 만이었 ... 분석(전북)’, ‘영상기록 장치를 활용한 발화지점 판정에 관한 연구(강원)’가 장려상을 수상했다 ... ...
- 하트와 홀름스트룀, 그리고 ‘계약 이론’수학동아 l201611
- 하트 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벵트 홀름스트룀 미국 MIT 교수를 올해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뽑으면서 “계약 이론에 대한 두 사람의 연구 업적을 높이 평가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들이 연구한 합리적인 계약을 함께 살펴볼까요?여러분은 그동안 몇 번이나 계약을 해 봤나요? 계약서를 써야만 ... ...
- INTRO. 2016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611
- 오토파지 과정을 밝힌 과학자가 차지했다. 노벨이 그려진 금빛 메달로 인정받은 올해 수상자들의 업적을 자세히 알아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11
- 구현되기까지는 앞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가 많다. 하지만 페링하 교수는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기자들에게 이런 말을 했다. “100년 전 라이트 형제가 첫 비행에 성공했을 때 불과 반 세기도 지나지 않아 제트 여객기가 승객을 싣고 대서양을 건너리라 누가 상상이나 했겠느냐”고. 우리는 이제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11
- 어떻게 나눠 가질까?노벨 물리학상 상금은 총 800만 크로나, 한화로 약 10억이다. 그런데 수상자가 세 명이라면 상금은 어떻게 나눠 가질까?결과부터 말하면 데이비드 사울리스 교수가 상금의 절반인 400만 크로나를, 그리고 코울리츠 교수와 허데인 교수가 남은 상금의 절반씩 200만 크로나씩 가져간다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11
- 결과는 성공적이었고, 서큘러스는 파이에어로 ‘2016 서울시 I·해커톤·U 대회’에서 수상도 했다.이후 두 가지 갈림길에 서게 됐다. 최근 인기를 얻은 드론과 원래 만들고 싶었던 로봇 사이에서 갈등했다. 그런데 드론은 이미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어져 경쟁력이 없었다. 공간을 날아다니는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11
- 나갈 수 있었던 것은 국내외 최고의 전문가들 덕분이었다. 올해도 물리, 화학, 생리의학 수상 분야의 국내 최고 석학에게 상세한 해설 기사를 청해 실었다. 아무리 신문 기사를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면 이번 기획을 찬찬히 보시라 권하고 싶다. 감탄사가 여러 번 나올 것이다. 그래도 이해가 가지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11
- 예측한 두 명의 물리학자가 노벨 물리학상을 탔는데, 입자를 직접 발견한 CERN에서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아쉽지 않았나.발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노벨 위원회는 CERN의 공로를 분명하게 인정했다. CERN의 모든 구성원은 두 학자가 노벨상을 받게 됐을 때 마치 우리가 상을 받은 것처럼 기뻐하며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11
- 스캔들을 일으켜 전세계적인 물의를 빚은 독일의 자동차 제조회사 ‘폴크스바겐’이 수상했다. 차량을 테스트할 때마다 자동으로 더 적은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해 오염 문제를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11
- 12일에는 2016년 노벨 과학상을 상세 해설하는 ‘노벨상 카페’가 열린다. 올해 물리학상 수상자의 제자인 한정훈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를 비롯해, 화학상을 받은 분야인 분자기계의 대가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