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력"(으)로 총 1,1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07
- 번개를 만든다.한국전기연구원에서는 인공번개를 이용해 변압기와 차단기, 케이블 같은 전력기기가 벼락을 맞았을 때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 시험한다. 또 풍력발전기나 중요 문화재, 위험물 저장탱크, 피뢰침 등이 벼락을 맞거나 사람이 감전당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수칙을 세우는 데도 ... ...
- Intro 눈앞이 번쩍~! 번개 특종을 잡다수학동아 l201507
- “이 기자님, 번개가 아무렇게나 치는 것처럼 보이죠? 당치도 않아요. 내가 만든 소프트웨어에 따르면 번개는 수학적인 법칙에 따라 갈라져요. 특별히 ‘수학동아’에만 알려드릴 테니까, 당장 저와 함께 번개를 따라가 봅시다!”수학동아가 유명해지니 별별 제보가 다 들어온다. 오늘은 아침부터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07
- 도로를 달리기 시작한 지 얼마나 흘렀을까. 꾸벅꾸벅 졸고 있는데 육중한 코뿔소가 급작스럽게 멈추면서 나를 흔들어 깨웠다. 온몸을 갑옷으로 두르고 있어 밖이 보이지 않아 어딘지 궁금했다. 하지만 차 앞좌석을 가득 채우고 있는 모니터를 보니, 이 근방에 소나기구름이 잔뜩 덮여 있다는 사실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07
- 번개사냥꾼이 몰고 온 트럭은 정말 우스꽝스럽게 생겼다. 두꺼운 갑옷을 입은 코뿔소 같았다. 머리에는 여러 안테나와 커다란 우산이 솟아 있었고, 내부에는 모니터가 가득했다.“폭우와 벼락을 따라다니려면 기본이죠. 주변 일기예보를 항상 주시하면서 비구름이 어디에 모이고 있는지 비가 얼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07
- 자동차 등의 물체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괄목할만한 성과지만, 비슷한 전력량으로 두뇌가 처리하는 정보량에 비하면 턱없이 작다. 박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처리연구실장은 “사람은 초당 1.8페타바이트를 계산한다”며 “현존하는 슈퍼컴퓨터로 이 정도 계산은 어림도 ... ...
- 필래, 정신이 좀 드니?과학동아 l201507
- 필래는 다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영하 35℃의 낮은 기온에서 24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필래에는 방전되기 전까지 혜성을 탐사한 정보 8000 데이터패킷 가량이 저장돼 있다. ESA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정보를 수신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혜성이 태양 가까이 이동할수록 혜성에서 ... ...
-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과학동아 l201507
- 눈이 간다. 테슬라는 1895년을 기점으로 점차 추락했다. 그가 제시한, 시대를 앞선 무선 전력 송신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잃었다. 최초로 대서양을 가로질러 무선송신을 하는 영광도 굴리엘모 마르코니에게 뺏겼다. 작가가 “1904년에 테슬라의 전성기는 완전히 끝났다”고 선언할 정도다. 그가 죽음을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6
- 각 2.4m, 높이 1.3m) 크랩스터가 모습을 드러냈다. 빨간색 천장에 각종 센서와 조명,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검은 케이블 등이 달려 있었다. 몸체는 밀봉돼 있지 않았다. 10m 들어갈 때마다 1기압씩 더해지는 수압을 상쇄하기 위해서다.단연 돋보이는 건 노란 양 옆면에 각각 3개씩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06
-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용량의 배터리를 만들려면, 전자가 양극에서 빨리 이동해 큰 전력을 내게 하는 전극재료의 개발이 중요해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중성자를 이용해 전극재료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개발된 이차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배터리로 사용돼 전자기기의 성능을 높여주죠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05
- 크기보다 더 빨리 증가한다는 의미다.도시가 2배 커지면, 한 사람당 필요한 주유소, 전력선 같은 사회기반시설은 15%씩 줄었다. 대신 임금, 특허, 저금 같은 경제적 가치는 한 사람당 약 15%가 늘었다. 1인당 전화통화량도 12% 정도 많아졌다. 한 마디로 도시는 커질수록 더 적게 먹는 대신 더 많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