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d라이브러리
"
전염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염
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06
서아프리카에 에볼라가 빠르게 번지기 시작하던 작년 9월, 미국국립보건원 병원균모델연구팀(NIH MIDAS)은 심각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놨다. 현 ... 요소를 수학적으로 보다 정교한 알고 리듬으로 만들어 소프트웨어에 반영할수록,
전염
병의 피해를 정확하게 예측해 방역대책을 세울 수 있다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
과학동아
l
201505
재난으로 상수 시설이 파괴됐을 때 오염수를 그냥 마시면 살모넬라균과 콜레라균에
전염
돼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런딘은 이때 “빨간약을 꺼내라”고 말한다. 진흙이나 플랑크톤 같은 입자성 물질로 탁하게 오염돼 있는 물 1L 정도에 10% 포비돈 요오드 용액 여덟 방울을 떨어뜨린 뒤 30분 정도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
수학동아
l
201504
땅에 똑같은 나무만 심으면 숲은 질병에 약해진다. 나무를 위협하는 질병은 주변 나무로
전염
되거나, 같은 종 안에서만 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모자이크처럼 여러 종류의 나무를 번갈아 심으면, 병충해가 숲 전체로 퍼져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 속도도 줄일 수 있다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
수학동아
l
201502
작으면 경계가 약해서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 쉽지요. 반대로 너무 크면 눈에 잘 띄고
전염
병에 약합니다. 서로 말은 안 해도 적당한 크기의 무리를 유지하면서 살아가는 겁니다.김 박사님은 올해부터 펭귄 연구에 더 집중할 계획입니다. ‘바이오로깅’이라는 기술을 이용하면 먹이를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01
‘제2의 에볼라’를 대비하는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나올 새로운
전염
병에 어떻게 대응할지 경험을 쌓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서아프리카에 의료진을 보냈다고 들었는데 안전만 잘 지킨다면 의학적으로 좋은 경험이 될 겁니다.”그는 한국인 연구자로서의 사명감도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
과학동아
l
201501
99.97% 이상 걸러낸 뒤 맑은 공기를 안면보호구에 공급한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로
전염
되지는 않지만 기관 삽입 등의 고난도 수술을 할 때 의료진에게 체액이 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감염사고 대부분은 ‘벗으면서’ 발생기온이 40℃가 넘는 아프리카에서는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7
퍼질까?지난 8월 6일 대한의사협회와 대한감염학회는 “에볼라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전염
될 가능성이 무척 낮으므로 심각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발표했어. 그래도 사람들은 여전히 에볼라바이러스를 두려워하고 있지. 하지만 너무 걱정 마! 조만간 에볼라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방법이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
수학동아
l
201412
어떻게 전파되는지를 보여 준다. 이 모델은
전염
병이 유행하는 초기 환경 조건과
전염
병이 발생했을 때 퍼져나가는 확산 정도를 예측한다. 앞에서 다룬 에볼라 수리 모델은 SIR에 변수 3개를 더 추가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인체를 분석해 질병을 알아내려면 혈액 같은 유체의 움직임을 잘 알아야 한다. ... ...
[과학뉴스]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
과학동아
l
201410
겁니다.”치명적인 감염병으로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
전염
이라는 ‘날개’를 달 수 있을지 묻는 질문에,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정용석 경희대 교수(이과대학 부학장)는 이렇게 말했다. 정교수와 성 교수는 과학동아가 9월 13일 개최한 과학토크콘서트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10
곤충이 우리 밭에 날아오지 않아 준비한 실험을 못하기도 했고, 심한 바람이 불거나
전염
병이 돌아 키우던 식물이 죽기도 했다. 길게는 몇 년 동안 준비한 실험이 물거품이 되는 셈이다. 현장 연구를 할 때는 이처럼 자연이 주는 시련(?)을 빨리 파악하고 차선책을 찾는 겸손함이 필요하다.올해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