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차
레일
철길
철로
선로
기차길
기차선로
d라이브러리
"
철도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은 변덕쟁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7
년대 프랑스에는 수도 파리를 중심으로 중요한 도시와 지방을 연결하는 1만 7000㎞ 길이의
철도
망이 연결돼 있었어요. 그 중 가장 크고 사람도 많이 다니는 기차역은 ‘생 라자르 역’이었지요. 모네는 1877년 생 라자르 역을 시작으로 12점의 기차역 그림을 그렸어요.그 중 1877년에 그린 두 점의 ...
국산 기술로 시속 300km 달린다
과학동아
l
201003
월 2일부터 서울 부산 구간을 운행하게 될 KTX-II는 요즘
철도
의 대세인 초고속이라는 첨단 콘셉트에 다양한 편의시설을 두루 갖췄다. 최고 시속은 기존 KTX와 마찬가지로 330km. 하지만 시속 300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316초로 현재 운행 중인 KTX보다 49초나 단축했다. 산천어 형상을 한 앞머리 부분이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달려요. KTX는 300㎞를 달리죠. 그러니까 소리의 속도인 시속 1235㎞는 자동차의 12배, 고속
철도
의 4배가 넘는 빠른 속도예요. 그런데 초음속 세계는 단순히 이동 속도만 빠른 것이 아니에요. 소리의 속도보다 느릴 때는 겪을 수 없었던 특이한 경험을 할 수 있거든요.그 중 하나가 ‘소닉붐’이에요. ... ...
21세기,
철도
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02
서울에서 베이징까지 고속
철도
로 5시간 만에 갈 수 있는 날이 오겠죠.”우리나라의
철도
르네상스는 이제 막 시작이라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편집자 주 ‘토목공학, 미래를 엽니다!’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토목공학 UCC 경진대회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02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자연의 한계가 가로놓여 있는 걸까. 그렇지 않다. 작가들이 은하
철도
999를 만들어내고 스타트렉을 창조했다면 한편에선 과학자들이 별나라 여행을 가능하게 할 방법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몇 가지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도 나왔다. 예를 들어 ... ...
지하철, 사람이 많다면 다음 열차를!
수학동아
l
201001
사람이 많다면 무리해서 타지 말고 다음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한국
철도
연구원은 지난 2007년에 출퇴근시간 승객 수가 많은 신도림~삼성역 구간의 지연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매 역을 지날 때마다 지연시간이 늘어나 결과적으로 최대 7분이 늦어진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 ... ...
몸이 느끼는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01
떨림지하철만 타면 꾸벅꾸벅 조는 사람들이 있다. 많이 피곤하겠거니 생각하지만 일본
철도
기술연구소가 정확한 원인을 밝혀 냈다. 지하철의 진동수를 측정했더니 1초에 2번 떨리는 꼴인 2Hz로 나타난 것이다. 사람들은 이런 흔들림에서 가장 잠들기 쉽다. 기차나 버스도 비슷한 진동수를 낸다. 아기를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12
결과와 환자를 수술한 결과를 소개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1848년에 미국 버몬트주
철도
공사장에서 발파 작업을 하려다 사고를 당한 피니어스 게이지의 이야기는 경악할 만한 사례이지만, 사람의 성격을 결정짓는 주체가 뇌, 특히 전두피질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쇠막대가 게이지의 ... ...
② 꼼꼼히 계산하면 친환경 보인다.
수학동아
l
200912
소비량과 배기가스뿐 아니라 역과 공항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계산했다.
철도
레일이나 도로, 활주로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비용 등 총 79개 항목에서 발생하는 환경적영향을 일일이 비교했다. 그 결과 각 교통수단이 배출하는 전체 온실가스양은 연료 소비량만 계산했을 때보다 열차가 15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09
보고 있다. 특히 이번에 새로 개발되는 신형 KTX는 한양대 기계공학과 배대성 교수팀과
철도
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가상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KTX가 달릴 때 바퀴와 선로 사이의 힘을 계산해서 시속 수백km 이상으로 달려도 탈선할 염려는 없는지, 갑자기 강한 바람이 불어도 궤도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