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계
범위
영역
범주
둘레
레인
연변
d라이브러리
"
테두리
"(으)로 총 126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은 왜 크기가 변할까
과학동아
l
199808
것을 실험해 볼 수 있다.이렇게 생성된 분화구들은 평평한 바닥과 뾰족하고 둥근
테두리
를 갖고 있으며 중앙에 봉우리를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달 표면에는 서울시가 수십개나 들어갈 수 있는 크기(60-3백km)의 크레이터들도 2백여개나 있다.달 표면에는 폭이 좁은 줄무늬들을 많이 볼 수 있는 데 ... ...
기네스북에 없는 곤충올림픽
과학동아
l
199805
craecivora)이 20℃일 때 5.8일만에 한세대를 마감했다고 보고했고, 1989년 엘리오트 등은 기장
테두리
진딧물(Rhopalosiphum padi)이 26℃일 때 5.1일만에 한세대를 마쳤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들은 1960년 노다가 발견한 진딧물(Rhopalosiphum prunifolia)의 일생에는 미치지 못했다.어느 곤 ...
중세) 영원히 멈추지 않는 꿈의 기관
과학동아
l
199804
나무망치가 달려 있는 바퀴가 등장한다. 망치의 자루 부분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바퀴
테두리
에 걸려 있기 때문에 바퀴의 한쪽 절반에는 항상 다른쪽보다 망치 하나가 더 많다. 따라서 얼핏 보면 바퀴는 좌우 균형이 맞지 않은 탓에 한쪽으로 힘이 몰려 계속 멈추지 않고 돌 것만 같다. 그러나 바퀴는 ... ...
물질세계의 사회심리학자 노만규 박사
과학동아
l
199804
초신성의 비밀핵물리학과 입자물리학이 분리된 것은 1950년대. 그전까지 핵물리학
테두리
내에 있던 고에너지 물리학이 입자물리학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만들며 빠져나간 다음, 핵물리학은 비교적 낮은 에너지 영역의 현상을 주로 연구했다. 그후 입자물리학에서는 초기 우주의 상태 즉 쿼크나 ... ...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7
이 모형은 눈속임수를 이용한 것이다. 실제 계단의 경우 동일한 높이의 층은 그림의 붉은
테두리
와 같다. 펜로즈는 같은 높이의 층을 그림에서 변형시킴으로써 건축학적으로는 실제로 존재할 수 없는 계단을 만들어낸 것이다.에셔의 이 작품은 인생에 대한 비관주의적 주제를 담고 있다. 우리는 계속 ... ...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06
자갈이 현재까지 보존된 이유는 비가 거의 오지 않는 기후적 특성 탓이다. 학자들은 이
테두리
선을 만들기 위해 수t의 자갈을 운반해야 했을 것이다. 또 치밀한 설계도를 바탕으로 계산하지 않고서는 이런 정밀한 그림을 그릴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과연 이런 일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당시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06
짐작되는데, 천왕성의 대기는 대부분이 수소이고 메탄이 일부 포함돼 있다. 보라색
테두리
는 얇은 안개층이며, 노랑색은 그 안쪽 안개층. 푸른색 영역이 우리가 볼 수 있는 천왕성의 가장 깊은 대기층이다. 이것은 마치 비누방울을 통해서 그 뒷배경을 보는 듯하다. 올챙이들의 행진, NGC7293NGC7293는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01
커서가 놓여진 셸이 반전된다.이 상태에서 셸(칸)의 크기는 물론 셸의 모양을 바꾸거나
테두리
선의 모양을 지정할 수 있다. 셸 편집 상태에서 키보드로 조정하면 셸의 크기를 1mm씩 조정할 수 있어서 더 편리하다. 현재 셸만 바꾸고 싶으면 Shift키와 화살표 방향키를 함께 움직이고, 칸과 줄 전체를 ... ...
멀티환경의 화룡점정 모니터
과학동아
l
199512
모니터 전체를 화면으로 다 쓸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구형 모니터는 바깥에 검은
테두리
가 있어 14인치일 경우 실제 크기는 13인치도 못된다. 화면 크기를 인치만을 갖고 따져서는 안된다.마이컴 기능은 사용자가 굳이 해상도를 따로 맞출 필요없이 모니터 자체가 자동으로 맞춰주는 것을 말한다. ... ...
슈메이커-레비혜성 목성충돌시 3단계 광도변화
과학동아
l
199508
넘어 가시광선 영역에서 확실히 관찰 가능할 정도였다. 지상에서도 소형망원경으로 검은
테두리
가 보일 정도. G K L 핵 등의 충돌흔적은 1만㎞ 이상 퍼졌다. 이 흔적은 근적외선의 메탄분자 흡수파장에서 밝게 보였기 때문에 성층권에 부유하는 미립자로 여겨진다. NASA의 제트추진 연구소측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