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d라이브러리
"
필름
"(으)로 총 67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07
도저히 안 빠지는 공기방울 때문에 짜증난 적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얇고 투명한 보호
필름
에 공기방울이 아니라 ‘용액방울’을 넣고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는다면 어떨까요?2012년 4월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연구원은 그래핀을 이용해 액체가 증발하지 않고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03
다채로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원하는 사진을 얻을 때까지 수백 수천 장씩 찍었다.
필름
이 아닌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운이 좋은 날에는 셔터를 누를 때마다 새롭고 신기한 작품이 탄생하기도 했다.[➍ 얼음물에서 아이 팟~하고 뛰다 (Frozen Moment)얼음이 동동 뜬 찬물에 ... ...
과학으로 지은 뜨끈뜨끈 오곡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3
만드는 걸까요?우선 보통 오곡밥을 하는 것처럼 밥을 지어요. 그 다음 포장용기에 담아
필름
을 덮어 공기가 통하지 않게 밀봉 포장을 해요. 이렇게 포장한 밥은 뒤집어서 10분 정도 두는데, 고슬고슬한 밥을 완성하기 위해 뜸 들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랜 시간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03
담기죠. 사람은 본능적으로 혼이 담긴 것과 담기지 않은 것을 구분할 줄 알아요. 영화
필름
에 혼이 담기는데 하드디스크에 담기지 못할 건 뭐예요? 단지 본인은 아니라는 거죠.”“자네 믿음이겠지.”“믿음이죠.”청년이 답했다.“내 믿음을 말해 볼까요? 영혼은 사람의 몸 전체에 담겨있어요. 뇌에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3
사실 딱정벌레 날개를 보고 이 구조를 생각한 건 아닙니다. 게코도마뱀 발바닥을 모사한
필름
두 장을 우연히 대봤더니 이런 특이한 접착 특성이 있더군요.” 그 뒤 자연계에 이런 예가 있나 찾아봤고 정말 딱정벌레 날개에 있었다고. 서 교수가 딱정벌레 박제에서 날개와 몸통 표면이 서로 맞물리는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03
양이 자연스럽게 조절된다.[쿠션빌딩을 짓는 벡터 포일텍은 플루오르 고분자(ETFE)
필름
으로 만든 쿠션으로 건물을 짓는다. 두께가 얇아 가볍고 잘 휘어질 뿐 아니라, 햇빛을 잘 받아들여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한다. 사진은 영국에 있는 쿠션빌딩 에덴프로젝트.]쿠션도시 뜨는 날 올까2008년, 쿠션을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03
힘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구기기 전 평평한 상태에서는 무척 약했던 마일라
필름
은 구겨질수록 엄청나게 단단해졌다. 구겨진 종이공의 지름을 반으로 줄이려면 무려 64배나 더 센 힘이 필요했다. 그래서 힘 센 장사나 어린 아이나 종이를 구겼을 때 나온 결과가 별 차이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 ...
고분자로 범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02
처음 고안했다. 순간접착제는 어떻게 발명됐을까. 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1942년,
필름
제조사인 코닥의 연구원 해리쿠버 박사는 항공기 조종석 덮개를 개발하는 연구를 하기 위해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연구했다. 그러던 중 두 개의 광학프리즘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바른 후 광학 성질을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02
만족시키는 한 쌍의 나노
필름
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열전도성이 함께 증가했다.이는 두
필름
사이에서 작용하는 약한 전자기력인 ‘반 데르 발스 힘’이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와 열전도성이 증가됐기 때문이다. 반 데르 발스 힘은 열의 전도를 방해하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실제로 위 두 ... ...
곤충 껍질만큼 가볍고 단단한 플라스틱 나왔다
과학동아
l
201201
포크만 교수팀은 이 새우껍질에서 키틴을 이루는 고분자를 분리 정제한 후 깨끗한
필름
위에서 곤충 껍질과 같은 구조로 조립했다. 그 결과 가볍고 강한 플라스틱이 완성됐다. 연구팀은 소재의 이름을 ‘쉬릴크’라고 지었다.곤충 껍질을 재현한 쉬릴크도 강도가 알루미늄과 비슷하다. 무게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