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밤중
심야
자시
자정
미드나이트
심경
d라이브러리
"
한밤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06
번 소행성 팔라스가 지금 헤르쿨레스자리에서 빛나고 있다. 거리도 가장 가깝다. 6월에는
한밤
중에 하늘 높이 빛난다. 현재 9등급대의 밝기여서 맨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측이 가능하다. 소행성을 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다른 별들과 똑같다. 그러므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06
의미한다.마찬가지로 ‘자정’이란 해가 지구를 중심으로 관측자의 반대편에 있는
한밤
중을 의미한다.여기서 별들이 매일 서쪽으로 1°씩 치우쳐 간다는 말은 별들이 매일 1°만큼 동쪽에서 일찍 떠오른다는 말과 같다. 즉 별들은 매일 약 4분씩 일찍 뜬다.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D, 문제(3)의 정답은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06
붉은 빛 이외에 표면에 나타나는 다양한 모습을 만날 수 있다. 6월에는 자정을 전후한
한밤
중에 남쪽하늘을 보자. 지평선 위로 그려진 커다란 S자 모양인 전갈자리 왼쪽으로 밝게 빛나는 불그스름한 ‘별’이 눈에 띈다. 바로 붉은 행성 화성이다. 화성은 6월 22일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다. 소형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05
맞았다.태양에서 가장 가깝고 빠르게 움직이는 행성은 수성이다. 화성이나 목성은
한밤
중에 하늘 높이 떠오르므로 쉽게 눈에 뜨이는데 반해, 수성이나 금성은 항상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볼 수 있다. 내행성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수성은 태양 주변만을 움직이므로 다른 행성들과는 달리 매우 보기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04
이는 잘못된 고정 관념이다. 물론 해는 항상 낮에 뜨지만, 달은 새벽 오전 오후 저녁
한밤
중 등 아무 때나 뜨고 진다. 예를 들어 눈썹 모양의 초승달은 아침에 해가 뜬 직후 바로 해를 따라 뜨기 때문에 해가 진 직후 서편 하늘에 잠깐 보이다 진다. 즉 초승달은 초저녁달인 것이다. 따라서 두 검객이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03
월령 10.3일로 반달을 조금 넘어선 상태다.성식이 일어나는 시간은 달이 중천 높이 떠오른
한밤
중이 조금 지난 때다. 새벽 1시 21분 쌍둥이자리 델타별은 달의 어두운 부분으로 잠입하기 시작해 그 모습이 사라진다. 새벽 2시 16분에는 반대편 방향인 달의 밝은 방향으로 나타난다. 달의 중앙 부근을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01
기회를 엿보는 양양왕인데, 이 사람은 바로 하늘의 탐랑성이 지상에 내려온 것이라 한다.
한밤
에 눈을 번득이면서 먹이감을 노리는 늑대를 상상해보면, 탐랑성이란 이름과 양양왕은 참 어울린다고 생각되지 않는가. 탐랑성을 직역하자면 ‘탐욕스런 늑대의 별’이란 뜻이니 말이다.또하나 파군성이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01
사라진다. 이때 망원경으로 금성을 본다면 거의 반달모양이다. 밝기는 -4.5등급.금성은
한밤
중 밤하늘에서는 볼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보이는 것일까. 이것은 금성이 지구 안쪽 궤도를 공전하기 때문인데, 이런 상황을 가만히 그려보면 지구에서 보는 금성이 해에서 크게 떨어지지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11
이런 환각들은 종종 텔레파시로 의사소통을 하는 하늘로부터 날아온 이상한 존재들이
한밤
중 벽을 뚫고 침실로 찾아드는 식으로 정형화됐는데, 구체적인 스토리는 그때그때 문화적 수준에 발맞춰 변형돼 왔다. 칼 세이건은 이런 체험을 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신기한 얘기들이 여기저기 ... ...
저절로 박자 맞추는 박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9
박자로 깜빡이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수컷 반딧불이들이 벌이는
한밤
의 불빛 콘서트는 무려 3시간 이상 계속되기도 한다.1970년대 생물학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유명한 실험이 있다. 시카고대학의 생물학자 마사 맥클린톡과 캐서린 스턴 박사는 우연히 ‘여자들끼리 방을 같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