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cell"(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과학동아 l200109
- 세포프로젝트(Microbial Cell Project)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도 막대한 연구비를 지원해 ‘E-Cell’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국내에서는 필자의 연구실을 중심으로 대장균 등 미생물의 메타볼롬 분석과 대사네크워크 분석을 통한 가상세포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이런 연구가 무르익으면 ... ...
-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0107
-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줄기세포(간세포, stem cell)란 우리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나 조직의 근간이 되는 세포다. 줄기세포에는 인간배아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와 혈구세포를 끊임없이 만드는 골수세포와 같은 ‘성체줄기세포’가 있다 ... ...
- ① 고효율·무공해 두마리 토끼 잡는다과학동아 l200105
- 각 전극에서 전기화학반응이 진행된다. 이렇게 구성된 연료전지 한쌍을 단전지(single cell)라 하며, 연료극과 공기극 간의 전압은 약 1V 내외가 된다. 이러한 단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면 원하는 만큼의 전압을 얻을 수 있다.몇해 전 톰 행크스가 주연해 인기를 끌었던 영화 ‘아폴로 13’을 기억하는가. 이 ...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0105
- 강연 원고를 토대로 저술한 것이다.책의 원제는 ‘What is Life? The Physical Aspect of the Living Cell’로서 1944년 처음으로 영어판이 출판됐으며, 이후 독일어·불어·러시아어·스페인어·일본어 등으로 번역돼 전세계의 독자들에게 읽혀졌다. 그리고 1967년 이후 그의 또다른 글 ‘정신과 물질’(Mind an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과학동아 l200104
- 가시광선에만 반응한다. 그런데 뱀은 눈 아래 구멍에 독특한 신경세포인 골레이세포(golay cell)를 가지고 있어 적외선까지 볼 수 있다.적외선은 기본적으로 열이다. 세상에 있는 모든 물체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만약 뒤에 있는 물체가 앞에 있는 물체보다 많은 열을 발산한다면, 뱀은 뒤에 있는 물체를 ...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과학동아 l200102
- 하는 반도체의 일종으로, 우리가 흔히 화소라고 부르는 아주 작은 크기의 포토셀(Photo Cell)들을 바둑판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한 모습을 하고 있다.이 포토셀에 빛이 닿으면 순간적으로 전하가 생성되고, 입사된 빛의 양이나 세기에 따라 발생하는 전하의 양도 역시 변하게 된다. 빛을 ...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과학동아 l200009
- 그 결과 신체를 이루는 2백10여개의 기관으로 자랄 수 있는 줄기세포(간세포, stem cell)가 만들어진다. 인간배아복제는 자궁에 착상시켜 복제인간을 탄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일이 주요 목표다.이 일이 왜 중요할까. 바로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과학동아 l200001
- 역할을 담당한다고 추측되고 있다. 뉴런과 신경교세포는 모두 신경기간세포(neural stem cell)로부터 분화된다. 흥미롭게도 사람의 경우 뉴런의 증식은 임신 5주에서 20주까지, 그리고 신경교세포의 경우 생후 2개월에 최대치를 기록한다. 이후 뉴런과 신경교세포 모두 증식하는 일이 없다는게 ... ...
- 유전자 조작으로 빨리 늙는 쥐 생산과학동아 l199911
- 흥분했다. 이 교수의 논문은 분자생물학계에서 가장 저명한 학술지로 평가되는 '셀' (Cell)에 실리면서 일약 세계적인 학자로 성가를 높였다. 그리고 지난 여름 복제양 돌리의 조로문제가 관심이 된 적이 있었다. 돌리의 텔로미어 길이가 현저하게 짧아서 1년생 돌리가 세포핵을 물려받은 어미인 6년생 ...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과학동아 l199910
- 지나면 1백-2백개의 세포로 이뤄진 배반포기 상태가 된다. 안쪽 윗부분에 세포덩어리(inner cell mass)가 있고, 아랫부분은 비어있는 형태다. 세포덩어리를 둘러싼 영양아층은 나중에 태반으로 자라날 곳이다.이 가운데 장차 각종 장기로 발달할 부분은 바로 세포덩어리다. 이를 조심스럽게 통채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