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폭우가 쏟아지는 극한 강우도 잦아지면서 자카르타는 매해 우기 때마다 잠기게 됐다. 결국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도를 자카르타에서 보르네오섬 ‘누산타라’로 옮기기로 했다. 인구를 분산하기 위해서다. 계획대로라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4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에 맞춰 대통령궁을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정상적으로 안착했다. 그러나 달 착륙 직전 고도계 센서 오류로 그대로 달 표면에 추락해 결국 착륙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국제우주대회에서 만난 아이스페이스 연구진들은 이러한 첫 번째 미션의 실패로 얻은 수많은 데이터로 그 다음 미션을 준비하고 있었다. 다음 미션은 첫 미션보다 더 큰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즐겨보고 있어요. 체스를 두진 못하지만요. Q. 어렸을 적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가지다가 결국 물리학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20대 초반에 역사와 언어학은 제 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물리학과 수학에 더 재능이 있다는 걸 깨달았지요. 물리학으로 전공을 선택할 때 물리학과 수학 두 분야에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학은 잘했으나 다른 과목은 낙제점을 받을 정도로 성적이 너무 좋지 않았거든요. 결국 갈루아는 에콜 폴리테크니크 대신 에콜 프레파라투아르에 입학합니다.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했지만 그는 18살에 수 세기 동안 수학자들을 괴롭혔던 수학 문제를 하룻밤 만에 해결했어요. 5차 이상의 고차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느려서 물고기를 잡지 못했습니다. 그는 조금씩 속도나 시간의 차이를 줄여나가더니 결국 자그마한 모형 산 안에 있는 물고기 떼를 모두 잡았어요. 윤 학생은 전시장에 있는 커튼을 보고 발명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도 했습니다. 이 커튼 안에는 스피커가 있는데, 커튼 안에서만 소리를 들을 수 있고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딱딱하고, 불에 잘 타지 않고, 모양을 쉽게 만들 수 있는 다른 재료를 찾아야 했죠. 결국 시멘트로 노즐을 만들었습니다. 2022년 저희가 고등학교 1학년 때 진행한 발사는 세 번 모두 ‘돌았’습니다. 처음엔 종이 지관을 몸통으로 삼은 로켓을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엔진을 끼우고 인천 영종도에서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잃었다고 좌절하기만 했다면 아무런 발전이 없었겠지만, 결국 외양간을 고쳤잖아요? 결국 실패는 정면으로 마주해 자양분으로 만든다면 그걸로 오케이란 겁니다. 안혜정 KAIST 실패연구소 연구교수에게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 조언을 청했습니다. 안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람들이 무엇이 ‘좋은 과학’인지 너무 섣불리, 빨리 정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국 노벨상으로 이어진 안드레 가임의 그래핀 연구처럼, 웃겨 보이는 호기심이라도 조금 더 고민하다보면 좋은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앞으로 한국 연구자들도 이그노벨상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을까?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경쟁하는 가운데, 최근 제임스 웹은 앞선 허블 관측 결과의 손을 들어줬다. 그렇다면 결국 그간 우주배경복사를 우주의 팽창 속도, 팽창률을 구하는 데 적용했던 우주론 모델 쪽으로 고개가 돌아간다. 그동안 많은 천문학자들은 이 우주론 모델을 적용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으로 우주의 진화 과정을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예상치 못한 변수가 많습니다. 소재마다 응고와 수축 및 열 관련 특성이 달라서죠. 결국 적층성형 공정의 제반 조건이 같아도 생산 부품들의 형태와 특성이 균일하지 않고 불량품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층성형 기술은 재료와 에너지의 상호작용에 따른 근본적인 현상을 이해해야하고,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