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심
작심
결단
의지
결단력
d라이브러리
"
결의
"(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화 시킨 컴퓨터 언어 「늘품」① 컴퓨터가 우리말을 알아듣는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이 보인다. 이로부터 엮개결이 늘품결에 이어짐을 알 수 있다. 다시 "거북 말펴"하면 거북
결의
낱말들이 보이며 여기에 낱말을 더 지어 넣으면 ("90실어"하면 원반 화면 90에 들어 있는 글을 받아들여 그대로 따르면서 낱말들을 짓게 된다) 낱말의 숱이 늘어나게 된다. 즉 (그림7)의 아래쪽에서 보는 ... ...
소련당국 환경파괴될까봐 대단히 주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86년에 열린 27차 소련공산당회의는 시베리아 개발을
결의
했고 이제 본격적인 개발ㆍ탐사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소련은 서기 2000년까지 50억루불을 들여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에는 조사ㆍ연구작업이 한창이다. 4백여개의 정부기구와 60여개 단체가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삶을 연장시키는 조치가 취해져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개인의 '삶에 대한
결의
권'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환자들은 또한 암이나 그밖의 치명적인 질환에 걸려 치료를 받을 때, 그들 자신의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익힌다. 환자의 태도가 치료에 영향을 ... ...
결핵퇴치, 새로운
결의
로 전염성환자 16만명이나 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아직도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결핵사망률을 보인다는 것은 국가적 수치이다"'결핵'이란 질병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어 일어나는 전염병이다. 결핵은 다른 전염병과는 달리 감염된 후 발병하기까지 일정한 잠복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일단 감염되고 나면 언제 발병하게 될는지 모른다. 그리 ... ...
낙동강보존회 회장 구철회 을숙도하구둑공사, 문제너무심각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의 서두다. 낙동강의 자연환경파괴를 가슴 아파하며 그 보존을 다짐하는
결의
가 단어 하나, 하나에 깊이 스며있음을 느끼게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특정지역의 환경보존을 위해 결성된 순수민간단체인 낙동강보존회의 구철회(具鐵會·60)회장을 만나 을숙도하구둑공사 등 낙동강을 둘러싼 ... ...
신소재 수입대체효과가 큰 분야에 치중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제4차 기술진흥심의회에서 신소재산업을 육성하고 연구개발체제를 조정확립한다는 안을
결의
하였고 신소재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투자를 하고 있다. 최근국내의 기업들은 제품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 소재의 국산화가 급선무 임을 감안, 대규모의 기업단위 연구소 설립 또는 확장을 통하여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그 자리를 적어도 메모리분야에서는 우리도 한번 서볼 수 있지 않겠느냐는 조심스러운
결의
를 다지는 김박사. 그의 도전적기질이 우리나라 반도체역사에 반드시 의미있는 자취를 남길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IMD램, 4MD램 등 계속 새로운 스타를 탄생시키는 노력이 개인의 노력만 갖고 되는 것은 ... ...
추진과 포기의 갈림길에 선 각국의 원전 건설계획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스웨덴의 핵에너지 프로그램은 12기의 원자로와 함께 늦어도 2010년에는 끝난다"고
결의
했다.어떻게 5백만의 인구를 갖고있고, 길고 추운 겨울로 전력 소비가 많은 강철, 제지산업의 나라가 그러한 일을 할 수 있었을까. 게다가 이미 전체 전력의 27% 가 원전에 의존하고 있는데 말이다. 그럼에도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발견은 우리 인간의 행동과 의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아직 비해
결의
영역은 많다. 이같은 뇌의 신비를 벗기는 작업는 뇌의 개발과 함께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인 것이다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말에 따르면 복합재료의 약점은 금속처럼 "등방형"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즉 복합재료는
결의
방향에 따라서만 강할 뿐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갈라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레이거스'는 "복합재료의 경우는 금속보다 설계가 까다롭다"고 주의를 준다. 즉 비행시의 힘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해서 그 ... ...
이전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