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리"(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2 이그노벨상 I 당신이 생각도 못한 질문 답은 이그노벨상에 있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진실 혹은 거짓을 말할지 결정하도록 돕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공로로 수여됐다. 쉽게 문고리를 열 수 있는 손가락 사용법은 공학상을, 북유럽에서 교통사고를 자주 유발하는 거대한 사슴의 모양을 본 딴 안전 충돌 시험 인형은 안전공학상을 받았다. 대중과 함께하는 과학상이그노벨상은 수상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일어납니다. 그래서 판의 경계부에서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죠. 태평양 주변을 둘러싸고 고리 모양을 하고 있는 ‘환태평양 조산대(불의 고리)’가 대표적입니다. 환태평양 조산대에는 남아메리카 칠레, 알류샨 열도, 일본 열도, 뉴질랜드 등이 위치하고 있지요. 4월 6일, 영국 사우스햄프턴대학교 ... ...
- [그래픽뉴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해왕성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적외선 카메라의 시선을 해왕성으로 돌렸다.카메라에는 해왕성 고리와 메테인 얼음 구름으로 보이는 밝은 빛이 포착됐다.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영원할 것만 같은 별들의 마지막 모습은?은하수가 흐르는 여름철 저녁 하늘을 잘 관찰하면 다양한 천체를 만날 수 있습니다. 별들은 생애 주기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요. 은하에서 어떤 별은 새롭게 만들어지고, 어떤 별은 수명을 다해 사라지거든요. 별의 마지막 모습은 질량에 따라 다릅니 ... ...
- [과학뉴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눈으로 본 목성과학동아 l2022년 10호
- 8월 22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목성 사진을 2장 공개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만든 목성의 모습이다. JWST는 근적외선 카메 라로 광도 ... 1979년 보이저 1호 탐사선이 가까이 다가가서야 처음 발견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목성의 고리를 처음으로 담아낸 ...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있다. 제임스웹은 7월 12일 놀라운 사진을 대중들에게 선보였다. 용골자리 성운과 남쪽고리 성운, 스테판의 5중주 등 과거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했던 천체를 더욱 자세히, 아름답게 담아냈다. 폰토피단은 “제임스웹 프로젝트에는 과학자뿐 아니라 시각 예술가와 과학작가 등 30여명이 함께 일하고 ... ...
- [이달의 과학사] 1958년 5월 1일 지구를 둘러싼 밴앨런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강했지요.이후 추가 관찰을 통해 강한 에너지를 가진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의 축을 고리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고에너지 입자들이 방사선의 원인이었던 겁니다. 이를 발견한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의 물리학자 J. A. 밴 앨런의 이름을 따 이 구역에는 ‘밴앨런대’라는 ... ...
- [편집장이 허락한 이달의 꼼지락] 과학동아 편집부가 머리에 옷걸이를쓴 까닭은?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얻을 수 있습니다. 기사 읽기를 잠깐 멈추고 어서 가져오세요. 옷걸이를 준비했다면 고리 부분이 왼쪽으로 가게 한 뒤 눈썹 정도 높이에 옷걸이를 씁니다. 의도하지 않았는데 고개가 왼쪽으로 스르륵 돌아간다고요? 정상입니다. 유튜브에 ‘옷걸이 머리’라고만 검색해도 옷걸이를 쓴 뒤 고개가 ... ...
- [포토뉴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첫 번째 컬러 사진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우주망원경의 컬러 사진을 처음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사진은 용골자리 성운, 남쪽고리 성운, 스테판의 5중주 3종으로, 하루 전인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맛보기로 SMACS 0723 은하단 사진 1장을 공개한 데 이어 추가 사진을 공개한 것이다. 더불어 NASA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 자료를 토대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껍질까지 100% 활용한다! 귤껍질 향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있으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어요. 고리가 공기 방울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있으면 고리가 좁혀지면서 방울을 밀어 올려버렸지요. 그 결과 점탄성 액체에서 공기 방울은 갑자기 튀어 오르듯이 빠르게 올라갔답니다.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실험 하나 더!양초를 춤추게 만들어라!두 번째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