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럼펫
트럼핏
기적
호적
경적
호른
각적
d라이브러리
"
나팔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엄격히 제한하는 등 각종 규제를 가하고 있지만 가솔린자동차는 계속해서 대기오염의
나팔
수 역할을 할 것이다.이에 대한 대안으로 수소자동차 전기자동차 등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그 성과는 미미한 편이다. 독일을 중심으로 개발 되고 있는 수소자동차는 그 시제품이 나오고 있으나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다고 한다.한방에서는 식물성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질경이씨 쌀겨 장군풀 이질풀
나팔
꽃씨 등을 이용, 변비약을 추출해내기도 한다. 변비환자가 많은 미국에서도 쌀겨나 질경이로 만든 변비약은 이미 약효를 인정받고 있다.이같은 식물성 변비약은 그 속에 함유된 셀룰로오스 성분이 장관내의 ... ...
매머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빨아들였다가 제몸에 뿌리는 물뿌리개 역할, 코를 통하여 큰소리를 지를수 있으므로 뿔
나팔
역할도 겸할 수 있었다. 매머드의 긴 코는 쉽게 굽힐 수도 있는 튼튼한 힘살로 돼있어 무거운 물건을 움직일 수 있는 팔 역할을 해 코로 새끼를 껴안기도 하고 부부간에 서로 코를 걸고 초원을 산보 했을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88년5월에 임신시키는 데 처음 성공했다.미세조작술도 시행돼이같은 체외수정술은
나팔
관유착 등의 이유로 아기를 가질 수 없을 때 활용된다. 이밖에도 부인이 폐경기를 맞아 난자를 생산해 낼 수 없을 때, 부인의 자궁에 이상이 생겨 아이를 밸 수 없는 경우에도 각각 그 해결책을 마련해 주고 있다 ... ...
두루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울음소리가 큰 것은 목이 긴데도 원인이 있지만 기관 (氣管) 이 목뼈 내부를 마치
나팔
같이 꾸불꾸불 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기관은 자그마치 1m나 된다.두루미는 합창이 끝나면 곧 춤을 춘다. 한동안 어우러져 합창을 하고난 부부는 다시 매무새를 바로잡고는 목을 숙여 맞절을 한다. 마치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감각자료를 해석함으로써 지각이 발생된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48」과 「
나팔
」인간의 두뇌는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을 활용하여 모호한 자극 상황에서 가장 그럴듯한 정보를 찾아낸다. 예를 들어 우리는 '48'을 숫자로 읽지만 '
나팔
'은 악기 이름으로 읽는다. 똑같은 '4'자가 그다음에 숫자 '8 ... ...
등대의 모든 것을 한눈에 영일만의 장기갑 등대박물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압력이나 기계장치로 타종하는 시설인데, 50년대까지 사용됐고 요즘은 사이렌이나
나팔
로 대치됐다. 무종을 난타하면 이 소리를 듣고 배가 따라오게 된다는 것.이밖에도 다이아폰이나 다이아후렘혼 경적 타종부표등도 음파표지의 일종이다. 음파표지중 사이렌류나 다이아폰 등은 발신음의 주기에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실시됐었다. ■ 인공수정 5쌍동이 출생서울대병원 장윤석교수팀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나팔
관수정방식에 의한 다섯쌍동이를 9월25일 탄생시켰다. 당초 여섯 쌍동이가 임신됐으나 1명을 제외한 5쌍동이가 예정보다 아주빠르게 제왕절개수술로 태어났다. 다섯쌍동이는 남아 2명 여아 3명으로 체중은 0.7 ... ...
Ⅴ바다의 고동-밀물ㆍ썰물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때문이다. 타이달 보아-밀어붙이는 물벽 조차가 큰 해역에 얕은 바다가 길고 입구가
나팔
처럼 벌어져있는 만이 있으면 만조일때 조석파의 선두부분이 깎아세운 벽같은 모양이 되어 밀어닥치는수가 있다. 이런 현상을 타이달 보아(tidal boa)라한다. 보아는 충격파의 일종으로 부서지는 파도와 ... ...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수술이 간단하다.또 개복수술을 하지 않고도 복강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팔
관폐쇄 및 난소주위유착으로 인한 불임증을 치료하는데도 큰 성과를 보고 있다. 이 방법은 복강경을 통해 폐쇄된 난관부위를 전기소각하거나 좁아진 난관부위에 간단한 수술기구를 넣어 난관을 넓히는 방법이다 ... ...
이전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