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당사국총회(COP21)에서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협약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4년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COP17에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까지 참여하는 신기후체제를 올해까지 만들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정태용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교토의정서와 달리, 전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진화[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도움 및 논문 : 리 로저스 버거(남아프리카공화국 위트와테르스란트대 고인류학자), 데이비드 로퍼(미국 버지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Homo naledi, a new species of the genus Homo fr ...
- [INTRO]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화석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진화[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도움 및 논문 : 리 로저스 버거(남아프리카공화국 위트와테르스란트대 고인류학자), 데이비드 로퍼(미국 버지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Homo naledi, a new species of the genus Homo f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아니면 사람(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가까운 호모 속이었을까?[세소토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원주민어.] 살았던 연대는 알 수 없다화석인류를 발견하면 그 지층의 위아래 층과 비교해 연대를 추정한다. 위아래 층에 연대가 밝혀진 화석이 있다면 새로 발견한 화석의 연대를 알 수 있기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초기 호모 속 후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터스란트대 인류학과 리 버거 교수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북서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라이징스타(떠오르는 별이라는 뜻) 동굴에서 2013년 발굴한 새로운 인류 화석을 연구한 뒤, 이들이 초기 호모 속일 가능성이 있다고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7.6cm 정도 되는 레봄보 뼈를 가리켰다. 개코원숭이의 종아리뼈인 레봄보 뼈는 1970년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스와질랜드 사이에 있는 레봄보 산의 보더 동굴에서 발견됐다. 기원전 3만 5000년경에 만들어졌으며, 역사상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학유물로 추정된다. 박 과장의 설명대로 뼈의 겉에는 일부러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2008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위트워터스랜드대 리 버거 교수가 발견했다. 버거 교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수십km 떨어진 지역을 17년째 탐색하던 화석사냥꾼이었다. 무명까지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그리 유명하지도 않은 평범한 고인류학자였다. 깜짝 놀랄 성과를 낸 적도 없고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못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인류가 ‘미’를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그것을 수집했다면?남아프리카공화국 마카판스가트 지역의 3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온 작고 붉은 조약돌은 그런 조건을 만족시킨다.움푹 들어간 부분이 꼭 부조로 만든 사람의 얼굴 모양을 떠올리는 이 돌은, 그 지역에서는 나지 않는 ... ...
- [Life & Tech] “빛이 학문-국가의 경계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인사들이 참석했다. 최신 광학기술로 개발도상국을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표로 참석한 날레디 판도르 과학기술부 장관은 “아프리카 사람들의 70%는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며 “정보 격차가 더 벌어지지 않도록 국제사회의 공조가 ...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용한 중력파 연구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4년까지 호주와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전파망원경 3000개를 배치해 집광면적이 1km2인 거대 망원경 시스템을 만들고 이것으로 원시 중력파의 존재를 입증할 신호를 찾아내는 게 연구 목표다.Q. 완벽하게 이해하는 날이 올까지난 100년 동안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