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넓이"(으)로 총 7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최애는 개념돌이야! 수학 개념 + 아이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계속 늘리면 끝없이 뻗은 직선이 돼. 직선의 길이는 무한하다고 말해. 무한한 수나 길이, 넓이는 너무 커서 헤아릴 수 없어. 게오르그 칸토어, 다비드 힐베르트 같은 수많은 수학자는 무한의 세계를 파악하고자 오랜 시간 연구했지. 어때? 숫자 1의 성질을 이용해 특별한 의미를 담아 앨범을 만든 ... ...
- [기획] 2500년 만에 태양을 되돌린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왜 태양이 아직도 네모나냐고? 그거야 조각을 아직 내 눈으로 확인하지 못해서 그렇지. 넓이를 구할 수 있는 조각들로 정사각형을 만들어 냈지만 조각을 제대로 그릴 수 없잖아. 뭐? 조각을 시각화한 수학자가 있다고? 2022년 2월 안드라스 마테, 올렉 피쿠르코 영국 워릭대학교 교수와 조나단 노엘 ... ...
- [출동! 슈퍼M] “같은 40인치 TV인데 화면 크기가 다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사각형 중에서 가장 넓은 사각형은 정사각형이기 때문이에요. 길쭉한 직사각형이 될수록 넓이는 작아진답니다. 세상에 처음 등장한 TV의 모양도 가로와 세로의 비가 4:3으로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이었어요. 여기에도 나름의 이유가 있답니다. 영상 화면의 비율을 처음 결정한 건 발명가 에디슨의 ... ...
- [한장의 기후위기] 가뭄으로 사나워진 산불, 불길에 숲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산불 때문이다. 당시 산불은 약 12시간 만에 약 1200ha(헥타르·1ha는 1만 m2), 축구장 1700개 넓이에 이르는 숲을 태웠다.산불이 이렇게 번진 데에는 강풍과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의 영향이 컸다. 예전 같았으면 이따금 내렸을 눈과 비에 젖은 땅이 불길이 퍼지는 것을 막았겠지만, 이제는 기후변화로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북아메리카가 꽁꽁 얼어붙은 시절이 있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하는데, 지면이 얼음으로 덮인 넓은 지역을 ‘빙원’이라 불러요.밴프 국립공원에는 넓이가 약 325㎢에 달하는 ‘컬럼비아 빙원’이 있습니다. 컬럼비아 빙원은 로키산맥에서 가장 큰데, 서울시의 절반보다도 넓지요. 위성사진을 보면 산에 둘러싸인 빙원에서 빙하가 새어 나오는 모습을 볼 수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세상을 설명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속도, 거리 등이 아주 짧은 순간에 어떻게 변화했는지, ‘적분’은 어떤 모양의 넓이가 얼마인지 계산하는 방법이에요. 합쳐서 ‘미적분’이지요. 저는 1665년에 미분을 발명했지만, 발표는 하지 않았어요. 8년 뒤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가 미분을 발표하자 ‘누가 최초인가’를 두고 논쟁이 ... ...
- [특집] 우주로 향하는 거대 거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모양 거울 1개와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어요. 원은 둘레의 길이가 같은 도형 중에서 가장 넓이가 큰 도형이지요. 거대 마젤란 망원경을 만드는 일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의 이호규 선임연구원은 “거울의 재료를 틀에 붓고 뜨겁게 녹인 후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며 모양을 만드는데, 이때 ... ...
- [이슈1] 렛 잇고~♬ 겨울 스포츠의 왕국으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하체 사이의 각도는사이가 가장 좋다고 해요. 이 비행자세는 공기가 몸에 닿는 면적(넓이)을 최대한 줄이고, 물체가 뜨려는 힘인 ‘양력’이 더 잘 발휘되도록 하지요. [컬링] 빗자루질과 함께 하는 얼음 위의 체스 컬링은 약 42m 길이의 아이스링크에서 ‘컬링스톤’이라는 돌을 ‘하우스’라는 ... ...
- [핫이슈] 보드게임 타일은 왜 정사각형 아니면 정육각형일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타일과 비교했을 때 장점이 적기 때문이에요. 먼저 정삼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같을 때 넓이가 세 도형 중 가장 작아 게임 요소를 많이 표기하기 어려워요. 또 타일 위에서 움직이는 말의 이동이 부자연스러워요. 말은 타일의 중심을 따라 이동하는데 정사각형이나 정육각형 타일에서는 직선으로 ... ...
- [이달의 과학사] 1934년12월 7일 와일리 포스트, 최초로 제트기류를 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성층권 경계에는 ‘제트기류’라는 바람이 흐릅니다. 제트기류는 길이 수천 km에 넓이 수백 km에 이르며, 시속 100km 이상으로 빠르고 강하게 부는 바람이에요. 위도 30°와 60° 부근에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부는데, 저위도와 고위도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생기지요.처음 제트기류를 공식적으로 발표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