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기"(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토양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이산화탄소와 물을 모두 대기에 더해도 화성 대기압은 지구 대기압의 약 6.9%에 불과하다. doi: 10.1038/s41550-018-0529-6 그러니 명심하자. 화성 테라포밍에 투자하려면 과학적 타당성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할지 꼭 살펴볼 것. 03 땅만 보지 말자 | 얻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마에 멋대로 붙어서 찬 바람에 꽁꽁 얼어갔다. 쉰하나의 12월 15일. 가물가물한 연대기에서 유일하게 선명히 기억하는 나이. 제니의 동갑내기 남편이 작업장에서 사고사事故死한 날이었다. 차가운 아스팔트가 뿜어내던 죽음의 온도. 다시는 그런 절망을 느끼지 않겠다고, 절망의 조짐이 보이는 것은 ... ...
- [4컷 만화] 무분별한 로켓 발사, 오존층 파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밝혔어요. 블랙카본은 햇빛을 흡수하는 양이 다른 물질을 모두 합한 것보다 약 500배 많아 대기에 열기를 가두거든요. 또 오존층을 파괴할 수 있다고 했지요. 성층권에는 오존이 밀집되어 있어요. 오존층은 강한 자외선을 흡수해 지구상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해요. 하지만 로켓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때문이지요. 그래도 절대적인 지구 평균 기온이 궁금한 친구들이 있다면 미국 국립해양대기국에서 제공하는 1901년부터 2000년까지의 전 지구 평균 표면 기온 추정 값을 확인해 보세요. 지구의 연 평균 기온은 13.9℃(땅 8.5℃, 바다 16.1℃)로 계산됐던 것을 알 수 있답니다. Q. 딸기는 바깥쪽에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위성은 수명이 다했을 때 지구 대기권으로 재돌입하면서 고온으로 분해되는데, 이때 대기 중으로 흩어지는 미세 입자가 지구 기후나 인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밝혀진 것이 많지 않다. 아웃포스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스타트업이다. 인공위성이 임무를 마치고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편광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성이 고장나거나 임무를 종료하면 자동으로 궤도이탈 후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하는 기술을 실증한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누리호 3호기 3단의 맨 윗부분에 장착된다. 나머지 큐브위성 7기는 그 아래 양옆으로 탑재된다. 누리호 3호기는 발사 2분 5초 뒤 1단 분리에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따라 양력이 좌우된다”며 “날개가 도는 속도에도 한계가 있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가 옅어지기 때문에 헬리콥터에 사람이나 짐을 실으려면 어느 정도의 무게까지, 얼마나 높이, 얼마나 빠르게 운송할 수 있을지 등의 문제를 풀어야한다”고 했다. 전 교수는 “로켓을 추진장치로 활용한 드론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자외선 망원경 카메라를 가져갔다. 그리고 달에서 최초로 우주를 관측했다. 지구와 그 대기권은 물론, 대마젤란 은하의 모습까지 직접 촬영했다. 자외선 카메라로 찍은 덕분에 대마젤란 은하 속에서 활발하게 탄생하는 어린 별의 흔적까지 흐릿하게나마 담을 수 있었다. “밤은 세상을 감추지만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은 대기 중의 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전기 에너지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바꾸는 이른바 ‘이산화탄소 환원’이다. 2023년 4월 3일 DGIST에서 남 교수를 만났다. 미로로 들어간 탄소, ... ...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료는 메테인이다. 화성의 물을 전기분해해 산소와 수소를 만든 다음, 이 수소와 화성 대기 속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얻는다. 이를 ‘사바티에 반응(Sabatier Reaction)’이라고 부른다. 물을 전기분해해 얻은 산소는 따로 저장해 산화제로 사용한다. 전 교수는 “메테인은 현재도 소형 로켓에서 많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