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연어 몸속에 축적돼 붉은빛을 띠게 된 거예요. 그런데 양식장에서 자란 연어는 갑각류 대신 사료를 먹어서 붉은빛을 띠지 않아요. 그래서 양식장의 연어에게는 따로 아스타잔틴을 먹게 해 우리에게 익숙한 붉은빛을 띠도록 만든답니다. 1918년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스 자크 테나르는 ... ...
- [똥손 수학 체험실] 지금 몇 시? 햇빛만 있다면 언제든 알 수 있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모양의 앙부일구는 시각뿐만 아니라 날짜까지 알려주었지요. 해시계는 시침이나 분침 대신 그림자를 사용해서 시각을 나타내요. 해는 매일 아침 동쪽에서 떠올라 머리 꼭대기로 올랐다가 서쪽으로 사라지는데, 해의 위치가 변하면 물체에 생기는 그림자 방향도 달라져요. 동쪽에서 해가 뜰 땐 ... ...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코일에서 자기장이 만들어지는데, 이 자기장의 힘으로 기계를 움직이죠. 구리 전선 대신 초전도 전선을 감아 코일을 만들면, 전류가 많이 흘러 지금 사용되는 모터보다 강한 힘을 낼 수 있어요. 그래서 지금처럼 모터를 크게 만들 필요가 없게 되죠. 모터는 일상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운전의 주인은 누구일까? 인공지능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몇 가지 있어요. 첫 번째는 책임의 문제예요. 만약 인간 대신 운전하고 있던 인공지능 자동차가 교통사고를 낸다면, 그 사고에 대한 책임은 누가 져야 할까요? 아무 생각 없이 차를 타고 있던 사람일까요? 아니면 인공지능 자동차일까요? 인공지능 자동차를 감옥에 보낼 ... ...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15예요. 이때,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사용하지요. 가구의 크기를 나타낼 때는 센티미터 대신 밀리미터 단위를 쓰는 경우가 많아요. 1cm는 10mm와 같으므로, 이 가구의 W, D, H를 센티미터로 나타내면 각각 73.3, 52, 81.5예요. 센티미터를 이용해도 문제는 없지만, 사람들이 소수보다는 자연수로 된 정보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진화하면서 다른 포유류 동물과는 다르게 몸의 털이 점점 줄어들었어요. 털로 감싸는 대신 땀을 흘려서 체온을 유지했죠. 그러면 왜 머리에만 털이 남아 있을까요? 최근 머리카락이 뜨거운 태양 빛을 막아 머리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그중에서도 직모보다는 곱슬머리가 더 효과적이라는 ... ...
- [퍼즐마법학교] 유니콘 마을의 저주를 풀어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놀라서 말을 잇지 못하자 앙굴루스 왕이 한숨 쉬듯 이야기했어.“오르비아는 복수 대신 화해하자고 했지. 네 얼굴을 보면 맘이 약해질 것 같아서 잡아두려 한 거야. 미안하게 되었다.”오르비아는 단호하게 말했어.“사과는 내가 아니라, 저 아이에게 먼저 해줬으면 좋겠어.”오르비아가 눈짓으로 ... ...
- [꿀꺽! 수학 한 입] 마법의 힘으로 분수를 모아보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실생활에서 분수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적혀 있거든. 고대 이집트에서는 일한 대가로 돈 대신 빵을 받았어. 그런데, 일한 사람은 3명이고 주어진 빵은 1개일 때 한 사람에게 각각 돌아가는 빵의 양은 얼마인지를 숫자로 나타낼 수가 없었어. 그래서 새로운 수인 분수를 만들었지같은 자연수로 나타낼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꼽은 뒤 흡혈한다. 반면 점등에모기속 흡혈 곤충들은 작은 크기만큼이나 주둥이도 짧다. 대신 톱날 같은 이빨이 작은 턱뿐만 아니라 큰 턱 등에도 존재한다. 그 이빨로 피부와 모세혈관을 썰어낸 뒤 흘러나온 피를 곧고 굵은 하인두로 빨아먹는다. 독도점등에모기가 진정 독도에만 서식하는지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몸에 악성 종양이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 수술을 받는다. 큰 수술일수록 절개해야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복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래서 의학계는 절개 부위를 최소화해 건강한 조직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는 ‘최소침습수술’을 지향한다. 몸속에서 의료용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