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량"(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인터넷 속의 단위 이야기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원기의 질량을 기준으로 정한다. 1 kg은 백금과 이리듐의 합금으로 된 표준원기가 국제 도량형국에 보관돼 있다.3. 시간 : 시간의 단위는 세슘(133Cs)원자의 바닥상태에 있는 두 초미세 준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진동을 이용했는데, 이 진동이 91억9천2백63만1천7백70번 일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 ...
- 금 이야기과학동아 l1998년 02호
- 거두기 위한 면도 있다.1온스(1온스는 보통 28.35g이지만 금을 잴 때는 트로이 온스란 도량형을 사용해 31.1g을 적용)의 금으로 3백m2의 유리를 도금할 수 있으며, 이는 열 소모의 40%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요즈음 젊은 남자들 사이에 유행하는 귀고리는 사실 옛날 선원들로부터 유래한다고 ... ...
- 영재증명서 멘사과학동아 l1996년 11호
- IQ 테스트’는 여러가지 IQ테스트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즉 센티미터와 인치라는 도량형에 따라 같은 길이라도 다른 숫자로 표시되는 것처럼 IQ도 테스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점수가 나올 수 있다. 멘사테스트에서 1백48이라는 IQ를 받은 경우,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IQ 테스트인 ...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과학동아 l1996년 10호
- sr)을 보조단위로 정하고 있다 1875년에 조인된 미터조약을 근거로 미터법에 의해 도량형의 단위를 세계적으로 통일시키기 위해 계량표준(計量標準)을 유지 · 공급하는 국제기관 동물에 세계 공통의 학명을 부여하기 위한 국제적인 규약 동물학에서는 C 린네의 《자연의 계통》 제10판을 기준으로 ... ...
- 다비의 불길 속에서 태어나는 사리의 신비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사리여서 다비 후 8곡4두(8가마 4말)의 사리가 나왔다고 기록 돼 있다. 물론 당시 인도의 도량형이 지금과 같다고 할 수는 없으므로 정확한 양은 알 수 없으나 무척 많은 양이었음은 추측할 수 있다. 이 사리들은 8개국에 나누어 봉안되고 8대탑이 세워졌다.B.C.3세기 경 아소카왕 때에는 8만4천의 ... ...
- (3) 보석감정 어떻게 하나과학동아 l1993년 07호
- 같다. 나라와 지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던 다이아몬드 도량형은 1907년 제4회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2백mg으로 통일한 이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다이아몬드의 무게를 재는 방법은 고도의 측량방법과 기기들의 등장으로 매우 간단해 졌다. 요즘에는 캐럿으로는 소수점 이하 셋째자리까지, ... ...
- 지리산의 식생과 환경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수목원은 안성맞춤의 장소였다.저녁 5시가 다 돼서야 구례 화엄사에 도착 했다. 잠시 도량을 훑어 본 뒤 탐사팀은 숙소가 마련된 구례군을 향했다.저녁식사를 마친 후 지도교수의 '강의'가 이어졌다. 이런 식의 토막식 강의는 탐사를 마칠 때까지 계속됐는데 많은 도움을 얻었다는 것이 참가교사들의 ... ...
- 초정밀의 세계과학동아 l1991년 05호
- 960년경부터 출현한 레이저광선보다는 여러가지면에서 불리했다.따라서 1983년 10월 제17차 도량형총회에서는 미터의 정의를 바꾸어 "미터는 빛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다" 로 정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이 정의는 대표적인 자연상수인 빛의 속도를 299,792,458m/초로 ... ...
- 원자시계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원자시계의 몇가지 이용 분야에 대해서 알아 보자.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도량형국(BIPM). 이곳에서는 세계 46개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2백50여개의 원자시계의 시각비교 데이터를 수집, 국제원자시(TAI)와 세계협정시(UTC)를 유지하고 있다. 표준연구소의 원자시계도 이들 두 시간척도의 생성에 ... ...
- PART1. 개념과 특성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여러 사람들에 의해 측정되었고 측정치도 많이 정확해져 왔다. 1983년에 제17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는 진공 중의 광속을 C=299,792,458m/s의 값으로 결정하고 길이 단위인 미터의 정의를 광속을 근거로 하여 바꾸었다. 따라서 빛의 속도가 C=f·λ인 관계를 이용하면 광속도 C가 기본상수로 ... ...
이전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