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지"(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수컷인지 구분할 수 있단다. 사람도 남자는 털이 많잖아? 수모기도 더듬이에 털이 무지 많지. 모기 애벌레는 장구벌레라고 해. 장구벌레를 처음 보는 친구들이 많을 거야. 거꾸로 헤엄치는 모습이 신기하지?뭐가 궁금하니?우리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많더라. 궁금해 하는 친구들도 많고. 뭐든 ... ...
-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8호
- 되는 것이죠. 그래서 아래부터 빨, 주, 노, 초, 파,남, 보의 순서로 보이게 되는 거지요.”무지개도, UFO도, 가짜 사진도 아니란 걸 알게 된 삼총사. 다시 끈끈한 우정을 되찾게 되어서 너~무 기쁘단다. 사건도 해결됐겠다, 앞으로 영원한 우정을 위해 닥터고글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기로 했다.“하나, 둘 ...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과학동아 l2007년 06호
- 걸 잊고 살았다. 한달에 한 번씩 봐달라고 신호를 보냈는데…. 난 벌을 받아 마땅하다. 무지하고 무신경했으니까.”드라마‘여우야 뭐하니’의 여주인공은 자궁근종 진단을 받고 울음을 토해냈다. 결혼도 안한 처녀가 자궁근종이라니‘죽을병’처럼 두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자궁근종은 조기에 ... ...
- 세게 때릴수록 좋은 야구공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9호
- 개발한 게 틀림없어. 그렇지 않고서야 중력의 힘을 이길 수가 없지. 아니면…, 무지무지 힘센 다른 외계인이 타자로 둔갑한 걸까? *타자의 힘이 아무리 세더라도 지구에는 물체를 중심으로 끌어당기는 중력이 있기 때문에 방망이로 때린 공이 끝없이 날아갈 수 없다. 공을 가장 멀리 보낸 공식 ...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과학동아 l2006년 09호
- 레오나르도의 비행 시도는 참담한 실패로 끝나고 만다. 실패의 원인은 양력의 원리에 무지했던 탓이었다. 레오나르도는 박쥐가 날아오를 때 힘차게 날개를 퍼덕이는 것을 보고는 이렇게 결론짓는다.“날개를 펼쳐 아래로 후려치는 순간 날개 아래에 고여 있던 공기가 아래로 이동한다. 이때 날개를 ...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하면서부터 비로소 가능해졌다. 허긴스의 성공은 초창기의 무지로 인한 오류이긴 했지만, 그는 낮에 코로나를 찍으려고 누구보다 심혈을 기울였다. 이런 노력이 있었기에 과학이 발전해온 것이다.어쨌든 허긴스는 천체분광학의 실질적인 창시자로서 천체물리학 역사에 큰 ...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7호
- 끊기는 ‘항복점’이란 것이 있는데 고무는 이 항복점이 탄성이 시작되는 지점과 무지 멀리 떨어져있어. 고무가 웬만해서는 끊어지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지. 비록 공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탄성의 원리를 잘 이해하고 요요를 응용할 생각을 한이소라 친구, 대단해요∼! ‘누구도 날 멈출 ...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과학동아 l2005년 07호
- : 싫어, 싫어. 만나고 싶단 말야!톰슨 : (고개를 설레설레 저으며) 이 녀석 고집은 도무지…. 며칠 후에 저 선생님이 우리나라에 오거든. 그때 만나러 가자.이배아 : 아~싸~! (신이 나서) 아빠, 난 이담에 꼭 의사가 될 거에요.톰슨 : 왜에?이배아 : 세상에는 아픈 사람들이 너무 많잖아요. 나쁜 병은 다 내 ...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비밀을 풀 수 없는 레오 일행은 이 섬에서 1000년 이상을 넘게 살아 온 주술사‘무지오레 사라나마’를 만나게 된다. 석상이 세워지는 모습을 본 사라나마에게 레오 일행은 비밀을 물어 본다.하지만 까다로운 사라나마는 조건을 건다. 자기가 내는 과제를 실험을 통해 풀어 내면 가르쳐 주겠다는 것 ... ...
- 우주여행 즐기며 여름나기과학동아 l2004년 08호
- 파장만을 가지고 있는 순수한 단일광선에 해당한다. 태양광선은 프리즘을 통과한 후 무지개색의 여러 광선으로 분리되는 반면 레이저는 프리즘을 통과해도 여전히 한 종류의 광선으로 나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따라서 뚜렷한 별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레이저가 가장 적합하다.▶▶▶ 별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