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면
상류
수상
상급
귀족사회
d라이브러리
"
물위
"(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기압이 낮아지고 기온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물고기가 물 속에 산소의 양이 적어져서
물위
에 나와 호흡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개미가 열을 지으면 비가 온다개미들이 비가 올 것을 미리 알고 안전 지대인 잔디풀 밑이나 나무 그늘로 피난한다고 생각된다.○ 새벽 안개가 짙으면 맑다바람없이 ... ...
화학-
물위
에 물 쌓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2월에는 우리 고유의 명절 설이 들어 있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색동저고리를 입고 설을 즐겁게 보냈겠죠. 올해 설에는 그때를 회상하면서 액체로 색동옷을 만들어 봅시다.물만을 가지고 탑을 쌓을 수는 없을까요? 소위 '물 위에 물을 쌓는다'는 마술과도 같은 일에 여러분이 직접 도전해 보기를 바랍 ... ...
체온저하증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바다에서 조난사고를 당한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의 우리가 기분좋다고 느끼는 시원한
물위
에서 떠다니면서도 그들의 젖은 몸속의 열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는 바람에 사망하기도 했다. 수영선수들의 '수영복'의 기능이 바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다.체온은 일단 35℃(95℉)까지 내려가면 점점 더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압력센서인 노란색 판 그리고 전광판이 모두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다. 리턴 순간은
물위
에 앉아 있는 심판들이 눈으로 확인한다.수영선수들은 결승점에 골인할 때 반드시 노란색 판을 짚어야 한다. 압력센서에 일정정도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야만 골인한 것으로 인정되는 것이다. 센서에 가해진 ... ...
2 악천후 불문, 저공 침투 가능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낙하산에 의해 안전하게 강하된다. 이 모듈은 착륙 후 승무원의 피난처로 사용되며
물위
에 떨어지게 되면 보트구실을 하게 된다.F-111에 사용된 터보팬 엔진은 종래의 터보제트 엔진에 비해 연료소모가 적고 큰 추력을 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소음이 현저히 낮아지는 부수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 ...
엑슨 발데즈 원유유출사건 그 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말았다.유조선의 파열된 부분에서 원유가 용솟음쳐 나와 1m 정도의 파도를 만들면서
물위
로 퍼져나가고, 유조선은 암초에 걸린 채 꼼짝도 하지 않았다. 기름냄새가 진동을 하고 기름이 한쪽으로 급작스럽게 빠져 나가면서 유조선은 균형을 잃고 기울어질 위기에 처했다. 배가 전복된다면 그 차가운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물 곳에 있을 때에는 코만 수면위에 내놓고 호흡하기에 적당하다. 툭 불그러진 눈을 항상
물위
에 내놓는데 이 눈도 악어의 먹이가 될 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노려보기에 안성맞춤이다.오늘날 지구상에는 3과(科) 21종(種) 28아종(亞種)의 악어가 살고 있는데 크게 크로코다일(crocodile) 앨리게이터(alligator)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마칠 때까지는 생명을 유지해야 한다. 결혼비행은 보통 저녁 일찍
물위
에서 이뤄진다.
물위
를 날고 있던 한떼의 수컷중 한마리가 암컷에게 달려든다. 암컷은 온몸이 생식기계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인데 배에서 머리까지 알로 가득 차 있다. 그 알을 수면 위에 낳으면 알은 너울너울 물속으로 가라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식물성 플랑크톤이 과연 기후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만큼
물위
의 공기를 데울 수 있느냐는 의문이었다.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사티엔드라나스 연구팀은 인도 서쪽에 위치한 아라비아해를 탐사했다. 그곳은 계절에 따라 식물성 플랑크톤의 수가 달라져 실험을 하기에는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조류는 낮동안 숲에 묻혀 있거나 물가에 나와 목욕을 함으로써 피서를 한다. 새들은
물위
에서 날개를 퍼득거려 자신의 터럭 속으로 물이 스며들게 한다. 이렇게 물이 피부 깊숙한데까지 닿게 한 다음 툭툭 털고 일어나서는 홰에 앉아 물기를 말려가면서 부리로 깃을 다듬는 것이 그들의 목욕이며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