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소
최음약
lovephilter
사랑의 묘약
d라이브러리
"
미약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가로지르면서 별빛이 어두워지는 정도를 관측해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이다. 0.002%의 매우
미약
한 빛의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행성의 질량은 별빛가림 방법으로는 알 수 없어 별의 시선속도 변화를 이용했다. 계산 결과 케플러-16b는 갈색왜성과 같은 어두운 별이라기에는 질량이 작았다.이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빛을 내놓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암흑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전자기적으로 아주
미약
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약하다는 것은 광자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뜻이고 빛을 만들지 못한다.또 빛을 내는 다른 물질(바리온)과 상호 작용을 하지 않고 충돌도 하지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늘었다. 백두산의 화산활동을 관측하는 한 중국 연구소는, 인간이 느끼기에는 너무
미약
한 작은 지진이 하루 100회 이상 발생한다고 한다. 백두산이 분화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가 있다. 2002년 이후 백두산의 고도가 10cm 정도 높아졌다는 점이다.과학자들은 화산분화의 전제조건인 ... ...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니코틴의 화학적 형태를 바꾸는 것이었다. 담뱃잎에 있는 ‘자연니코틴’은 흡수율이
미약
해 흡연자를 중독시키기 어렵다. 자연니코틴은 염 상태로 존재해 좀처럼 기화되지 않아 인체에 흡수되지 않기 때문이다. 자연니코틴이 기화해 폐에 흡수됐다 하더라도 폐 속에 있는 물과 반응해 다시 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용한 나노 소재는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하는 분야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미약
하다”며 "이 연구가 국내의 연구 기반을 세우고 신소재와 나노융합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이 기술은 인체에 해롭지 않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환경 오염 물질을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스텔스는 이런 (보통은 노이즈로 생각할 만한) 것들과 구분이 안 갈 만큼 신호가
미약
해 레이더에 표시되지 않는 것 같다”고 했다. 그렇다면 이런 노이즈 제거 기능을 꺼 두면 스텔스기를 찾을 수 있는 걸까. 그것도 쉽지 않다. 스텔스기의 신호뿐 아니라 주변에 있던 수많은 전파들이 한꺼번에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보면 마찬가지라는 ‘합리적인 이성’에 비해 스위치를 누를 때 느끼는 감정 동요는
미약
하지만, 앞에 서 있는 사람을 내 손으로 직접 밀어야 할 때 느끼는 감정 동요는 이성을 압도한다는 것. 연구자들은 “도덕 심리학의 오랜 합리주의 전통은 도덕 판단에 이성의 역할을 강조해왔다”며 “그러나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엄ㅊ어나게 크고 오래된 은하들과 그 안에 있는 무수한 별 사이에서 인간은 너무나 작고
미약
한 존재라는 게 점점 더 명확해졌기 때문이다. 현대 우주생물학은 한술 더 떠 우리와 빗스한 다른 생명체까지 찾으려고 한다. 그래도 인간이 위대한 건 이렇게 끊임없이 지식을 넓혀갈 수 있는 원동력인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비롯한 대리인이 서명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대리인에 대한 법적 근거가
미약
해 누구를 대리인으로 세우냐에 따라 연명치료 여부가 달라질 우려가 있다.세브란스병원의 존엄사 가이드라인은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회생이 불가능한 사망 임박 단계. 뇌사 환자나 여러 부위의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행성은 하나의 태양을 공전하고 있으며 그 중력에 묶여 있다. 끝도 없이 드넓은 우주에서
미약
한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함께 배회하는 태양계의 행성들은 마치 하나의 가족 같다. 외계 탐사 1990년 2월, 미국항공우주국의 과학자들은 ‘과학과는 전혀 무관한 이벤트’를 실행에 옮겼다. 1977년 9월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