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개
인장
인감
도장
d라이브러리
"
바다표범
"(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에서 피운 열정의 꽃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난 2월 17일은 남극 세종기지가 준공된지 만 16년이 되는 날이었다. 세종기지는 작년 12월 젊은 과학자 고 전재규 대원의 안타까운 죽음이 있었던 곳이다. 당시 극지연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쇄빙선 하나 없이 작은 고무보트에 몸을 싣고 남극 바다로 나선 대원들의 모습은 큰 충격이자 아픔이었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4′, 서경 31°30′에서 얼음에 완전히 갇혔다.섀클턴의 탐험대는 얼음과 떠돌면서 펭귄과
바다표범
으로 식량을 대신했다. 배로 물이 많이 흘러들면서 10월 27일 얼음 아래로 내려갔는데, 한달도 되지 못해 배는 가라앉았다. 얼음을 타고 떠내려가던 탐험대는 1916년 4월 14일 작은 보트로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별이 쏟아지는 해변으로 가요….”여름휴가철이면 더위를 피해 해수욕장을 찾아 떠나는 행렬로 국토의 동맥이 마비되는 현상이 해마다 되풀이된다. 해수욕장을 상상하면 넓은 모래사장, 눈부신 햇빛 이외에 해변가에 늘어선 횟집과 노래방도 쉽게 떠오른다. 이런 유희시설에 묻혀 잘 알려지지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도미노 연쇄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따라서 남방대구를 잡아먹는
바다표범
을 제거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남방대구의 숫자를 늘릴 것이라는 예측은 어찌보면 무모한 것인지도 모른다. 중간에 개입한 다른 여러 생물들에 의한 영향으로 오히려 숫자가 줄어들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남극반도의 끝자락 킹조지섬에 있는 세종기지. 비행기를 타도 서울에서 닷새나 걸리는 곳. 5-8월 겨울에는 뱃길이 끊어지는 것은 물론 비행기로 가는 것도 쉽지 않다. 최저기온은 영하 25℃. 때로는 초속 40m에 이르는 눈보라로 인해 체감온도는 이보다 훨씬 낮고 걷기조차 힘들다.혹독한 추위와 싸우 ... ...
돌고래 대화 엿듣는 잔점박이물범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네이처’ 11월 14일자에 발표했다.덱커 박사팀은 캐나다 밴쿠번 인근에 사는
바다표범
인 잔점박이물범을 대상으로 범고래의 다양한 소리를 수중방송으로 들려주고 반응을 연구했다. 범고래는 물고기를 잡아먹는 집단과 잔점박이물범을 비롯한 포유동물을 잡아먹는 집단이 있는데, 이 두 집단은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지구에서 기온이 가장 낮은 빙하의 대륙 남극.이런 남극에 찾아온 겨울이라면 혹독한 자연환경만 생각하기 쉽다.그런데 겨울이라는 계절이 돼야 남극의 참모습을 알 수 있다. 남극 킹조지섬에 있는 세종기지에서 전해온남극의 겨울 소식을 전해 들으면서, 무더운 여름을 이겨보자. 남빙양으로 둘 ... ...
뜨거운 지구가 펭귄을 죽였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조그만 새우를 닮은 크릴새우는 남극의 남쪽해양에 떼지어 사는 갑각류로 고래,
바다표범
, 그리고 펭귄의 주식이다. 어린 크릴새우는 바다 빙산에 붙어사는 말류를 먹고 산다. 그런데 기온이 올라가면 바다 빙산이 줄기 때문에 말류가 감소하고 크릴새우가 굶어죽으며 황제펭귄을 포함한 포식자들이 ... ...
몸을 던지는 환경파수꾼 그린피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옮기는 행위는 불법이라는 법을 만들어 그린피스 활동을 막았다. 이 법 때문에 새끼
바다표범
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던 그린피스 회원들이 구속되기도 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여배우 브리짓 바르도와 같은 스타들이 참여하면서 그린피스 활동은 날로 성장해갔다.그린피스의 주요 활동은 핵발전소,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포식동물들은 자신을 공격할 적이 없기 때문에 늘어지게 잠을 잘 수 있다. 그러나 얼룩말 등 초식동물들은 항상 주변을 경계하며 선잠을 자야 위험에 처하지 않을 수 있다. 약육강식의 동물세계에서 펼쳐지는 잠의 백태를 알아본다.동물은 왜 자게 됐을까 - 돌고래는 좌우뇌가 교대로 잠을 잔다잠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