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달"(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쥐의 뇌 시상하부에서 거울 뉴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뇌 발달 단계 초기에 형성되는데, 이는 동물이 서로를 모방하는 능력이 일찍부터 발달됐다는 것을 의미하지. 거울 뉴런은 어떻게 발견된 거야? 거울 뉴런은 1990년대 원숭이에게서 처음 발견됐어. 눈앞에 있는 사람이 물건을 쥐는 모습을 본 원숭이는 자신이 물건을 쥘 때 반응하는 뉴런이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중 어디에 속할까요? 딸기는 헛열매의 일종입니다. 씨방은 자라지 않고, 대신 꽃턱이 발달한 열매예요. 꽃턱은 꽃자루의 끝부분에서 곤봉처럼 볼록하게 나온 부분이지요. 딸기 바깥쪽에 씨앗처럼 보이는 부분이 딸기의 진짜 열매이며, 깨처럼 붙어 있는 열매 내부에 진짜 씨앗이 들어 있어요. 딸기 ... ...
- [기획] 소아청소년과 왜 꼭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발육하는 치아를 착색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킨다”고 덧붙였죠. 아직 기관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상태인 만큼, 소아에 대한 이해와 치료 노하우가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 ...
- [Art Math] 수식과 그래프로 캔버스 채우는 화가 김현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다시 보면서부터예요. ‘먼지 쌓인 노트에 주목하라.’ 2015년 어머니 김 씨는 우연히 발달장애 아티스트 지원단체 ‘로사이드’의 홈페이지에 들어갔다. 그때 메인 화면에 있는 이 글귀를 보고 뒤통수를 얻어맞은 듯했다. 아이가 끄적거린 것에 예술성의 실마리가 있다는 말이었다. 그길로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인간에게 20대는 아직 젊은 연령대다. 그러나 호기심과 관련된 행동들은 이보다 더 이른 발달 초기부터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 영유아, 비인간 영장류의 호기심부터 다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비인간 영장류가 인간과 유사한 호기심을 보이는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방법론을 그대로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성진우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의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jinwoo.seong@imba.oeaw.ac.at / sjw11071@gmail.com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죽음을 의미합니다. 성진우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의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jinwoo.seong@imba.oeaw.ac.at / sjw11071@gmail.com ... ...
- [기획] 변덕스러운 겨울 날씨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밝혔어요. 즉, 북극의 찬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다 따뜻한 서해와 부딪히며 발달한 눈구름 때문에 우리나라 충남, 호남, 제주도 등에 폭설이 내린 거예요. 수도권에서 적설량이 적었던 건 옹진반도 때문이에요. 눈구름이 만들어지려면 약 160km 이상 바다 위를 지나야 하는데 북한의 함경남도에 있는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유전자가 미래에 태어날 아이의 그것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겠지만, 비정상적인 태아 발달 가능성을 확인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죠. 체외배양 모델의 궁극적인 목표는? 2월호에서 소개한 블라스토이드와 이번 이야기의 주제인 가스트룰로이드의 목표는 사실 같습니다. 겨냥한 시기가 착상 전과 ... ...
- [가상 인터뷰] 만나면 반갑다고 오른쪽으로~, 개 꼬리의 용도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파리 같은 해충을 쫓는 데 꼬리를 쓴다”고 말했어요. 중국 국립과학원 유전 및 발달생물학 연구소 용 장 박사 연구팀은 작년 8월 개가 모르는 사람 앞에선 왼쪽으로, 잘 아는 사람을 만나면 오른쪽으로 꼬리를 흔든다는 걸 발견했어요. 제가 오른쪽으로 꼬리를 흔들면, 기분이 좋다는 뜻으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