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자국"(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열혈가족] 올해 목표는 거미와 친해지기! 푸른누리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해도 질리지 않아요. 사실 저는 생물에 대해 아직 잘 몰라요. 생물 지식은 고참 리더 팀인 발자국 팀 엄재윤 오빠나 리즈 팀 이원재 오빠처럼 박식한 사람들을 따라갈 수 없죠. 그래서 여름 캠프에 가도 저는 주로 설명하기 보단 행동하는 편이랍니다. 내년에 중학생이 되어서도 종종 탐사에 참여해 ... ...
- [과학뉴스] 진주에서 발견된 완벽한 형태의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쥐라기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2011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발견됐던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이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완벽한 형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 화석에는 도마뱀의 꼬리가 땅에 끌린 흔적과 발걸음을 옮긴 연속 동작이 생생히 남아 있었지요.1억 1000만 년 전 중생대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백두대간에서 생물의 흔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흔적 찾기’였어요. 귓가에 스쳐 지나가는 새소리를 놓치지 않고, 멧돼지가 지나간 발자국을 포착하며 다양한 동식물의 흔적을 쫓고 온 대원들의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생태 탐정이 된 이유는?“화면에 보이는 세 동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장이권 교수는 탐사 ... ...
- 호랑이 찾아 지구 13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이 조사를 위해 연구자들은 인도의 21개 주에 있는 숲에서 최대 열흘 간 머물며 똥이나 발자국 등 동물의 흔적을 찾아 돌아다녔어요. 연구자는 발견한 흔적을 ‘M-STrlPES’라는 앱에 기록했지요. 이 앱에는 GPS정보가 함께 기록되기 때문에 어떤 동물이 어느 지역에 많이 분포하는지를 쉽게 알아낼 수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자세히 살펴보니, 현장에 찍힌 발자국은 한 사람의 것이었다. 현장에 벗어놓은 신발과 발자국을 비교한 결과 크기와 바닥의 무늬가 일치했다. 사망 당시 다른 사람의 접근이 없었음을 미뤄 짐작할 수 있었다. 변사자의 몸 위에 꽤 많은 양의 눈도 쌓여있었다. 변사자가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계산해보자. 유럽 여성의 평균 발 크기는 길이와 볼 너비가 각각 26.6cm, 13.3cm다. 엘사가 한 발자국 내디딜 때마다 최소 약 354cm2의 면적(발 길이×폭)을 가지는 얼음판이 만들어져야 얼음 발판을 디디고 바다를 걸을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엘사가 걸을 때 바닷속으로 가라앉지 않으려면 얼음판의 두께도 ... ...
-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앱에 올렸지요. 무척 간단하죠? 새들의 노랫소리를 잘 담기 위해선 발자국 소리와 이야기 소리가 섞이지 않도록 가만히 서서 떠들지 않고 녹음을 해야 해요. 또한 스마트폰을 바닥에 내려놓아도 안 돼요. 바닥에서 반사된 잡음이 마이크로 들어갈 수 있거든요. 주변에서 부는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고혈압 약을 복용할 만큼 고생한 기억이 많지만, 지금은 고생한 날보다 KVN이 이룩한 발자국들이 더 진하게 남아 있다. KVN이 해외 여러 나라의 도움으로 건설됐다면, 이제는 VLBI 시스템의 설계부터 건설까지 모두 국산화가 이뤄졌고, 오히려 세계를 이끄는 시스템으로 거듭났다. KVN의 지난 10년보다 ...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개 발자국이고, 그렇지 않으면 고양이 발자국이다. 고양이 발자국의 또 다른 특징은 발자국 수가 적다는 것이다. 앞발이 찍고 지나간 부분을 뒷발이 정확히 밟기 때문이다.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다.또 고양이는 사람처럼 오른발잡이, 왼발잡이가 있다. 피터 헤퍼 영국 퀸즈대 동물행동센터 ... ...
- 충격이 몸에 남긴 힌트 표피 박탈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신체 중앙에 이렇게 넓고 뚜렷한 표피 박탈이 생기기는 쉽지 않다. 시체에서 세 발자국 정도 떨어져 다시 전체적으로 찬찬히 살펴봤다. 치골 부위뿐만 아니라 머리, 어깨, 배, 엉덩이와 팔 바깥 부위에서도 표피 박탈이 확인됐다. 게다가 모든 표피 박탈이 하나의 방향으로 생성돼 있었다.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