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IEA)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데이터센터가 지구 전체 전력 소모의 1%를 차지했다고
발표
했어요. 데이터가 늘어나면 이 비율도 점점 증가하지요. 최 교수는 “데이터센터에 있는 저장 장치는 늘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정보가 변형되거나 손실되지 않도록 항상 검사 프로그램이 작동 중”이라고 ...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분석했다. 2015년 이장택 단국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교수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발표
한 논문에서 KBO 원년부터 2005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지수가 1.87이 가장 잘 맞아떨어졌으나 2013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지수가 1.82여야 잘 맞는다고 밝혔다. 피타고리안 승률이 얼마나 잘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FIFA) 산하 국제스포츠연구센터(CIES)에서는 선수의 가치를 수치화하는 방법을 고안해
발표
했다. 연구팀은 2012년 7월부터 2021년 11월 사이 유럽 5대 리그 팀(세계 4대 리그와 프랑스 리그1)에 소속된 선수의 정보를 바탕으로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해서 선수의 가치를 알 수 있는 공식을 만들었다.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판정은 공정할까? 2021년 독일 쾰른체육대학교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플러스 원’에
발표
한 결과에 따르면 무관중 경기일 때 심판의 판정이 더 공정했다. 연구팀은 영국,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 6개국에서 진행하는 10개 프로리그 경기를 분석했다. 코로나19 전인 2010-11시즌부터 2019-20시즌까지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육지 집게의 약 3분의 2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쓰레기를 집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발표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오브 더 토탈 인바이런먼트’ 2월호에 게재됐다. doi: 10.1016/j.scitotenv.2023.168959‘소라게’라고도 불리는 집게는 조개 껍데기를 메고 다니는 특이한 모습으로 잘 알려진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위험군 비율만 전년 대비 상승했다.왜 청소년들의 과의존 비율만 높아졌을까. 실태조사
발표
당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 디지털포용정책팀의 관계자는 동아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엔데믹(일상적 유행)으로 접어들며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 ...
[한눈 과학] 3월⟶ 1월 봄 시작 당겨진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100년 1월 서울에는 개나리가 만발할지도 모른다. 기상청은 2023년 12월
발표
한 ‘지역 기후변화 전망보고서’를 통해 인류가 지금 추세대로 탄소를 배출할 경우 21세기 말 서울의 봄이 1월 27일이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1세기 초에 비해봄이한달반앞당겨지는셈이다. 인포그래픽을 통해 보고서의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블루헤드놀래기가 성별을 바꿀 때 체내에서 이뤄지는 변화를 연구한 결과가
발표
됐습니다. 에리카 토드 뉴질랜드 오타고대 해부학과 연구원과 미국, 호주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함께 진행한 연구입니다. doi: 10.1126/sciadv.aaw7006블루헤드놀래기는 카리브해의 산호초에서 무리 지어 사는 물고기입니다.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연구팀은 미지의 동반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1월 1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doi: 10.1126/science.adg3005 가능한 후보를 추리는 기준공전 주기 먼 우주에 있는 천체의 정체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직접 찾아갈 수 없는 인간이 고안한 방법은 천체가 뿜어낸 신호를 관측하는 것이다. 먼 ... ...
[가상인터뷰] 소변이 노란색인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메릴랜드대학교 세포생물학및분자유전학과 브랜틀리 홀 교수팀이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표
했어.적혈구는 붉은색 아니었어? 넌 왜 노란색이야?적혈구는 만들어진 지 120~140일이 지나면 수명을 다해.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분해되면 부산물로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만들어져. 빌리루빈은 밝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