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각 나라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약속을 지켰는지 돌아보고, 다음 해 계획을 세우지요. COP28에선 28년 만에 처음으로 기후 위기의 주범인 화석연료를 줄여야 한다는 내용이 명시된 합의문이 도출됐어요. 또 선진국이 기후 위기를 겪는 개발도상국에 금전적 보상을 ...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하죠. 현대 사회에서는 서로의 경험과 생각이 달라 같은 사실을 보고도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요. 사안에 따라 회사와 노동자, 여당과 야당 그리고 전쟁 당사국들과 주변 국가들의 표현 등이 너무 달라요. 사실 같은 일을 두고 나와 부모님 그리고 다른 가족들의 ...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무엇을 먹었을까. 화석으로 남은 치아의 형태를 보고 초식인지, 육식인지를 판단하거나 초식공룡의 뼈에 남은 이빨 자국을 통해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화석 증거를 발견하지 않는 이상, 정확히 어떤 먹이를 먹었는지 찾기는 쉽지 않다. 2023년 12월 8일, 프랑수아 테리앙 캐나다 ... ...
- 새로운 로봇 등장 New bot in town!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활용해 휴머노이드를 더 사람답게 만들 계획이다. 옵티머스 젠1의 경우, 사람의 행동을 보고 배우며 시각 정보를 분석해 물체를 구분하는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손, 촉각 센서 활용해 더 정교해지다 영상 속 옵티머스 젠2가 계란을 잡는 등 정교하게 작업할 수 있는 데에는 촉각 센서의 도움이 ... ...
- 알쏭달쏭 연산 퀴즈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모으기와 가르기]그림을 보고 모으기와 가르기를 해 보세요. [색칠하며 가르기] 하나의 수를 여러 가지로 가르기 해 보세요. 색칠한 칸의 개수는 왼쪽, 색칠하지 않은 칸의 개수는 오른쪽에 적어요. [한 단계 더! 복잡한 가르기] 여러 단계로 수의 가르기를 하려고 해요. 빈칸에 알맞은 수를 ... ...
- 사고력 두뇌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해요. [보석 찾기] 각 숫자는 그 주변 8칸에 숨겨진 보석의 개수를 나타내요. 숫자를 보고 모든 보석의 위치를 찾고, 111쪽 도안의 보석들을 알맞은 자리에 붙여요. [단어 찾기] 퍼즐판 위의 자음과 모음을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하면 단어가 나와요. 단어들은 서로 겹치지 않고, 가로줄은 왼쪽에서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해보고 싶은 일이나 꿈이 있나요? 일본 남쪽 오키나와 지역에 있는 난세이 제도에 가보고 싶어요. 아열대 생물에 관심이 많거든요. 일본 아마미오섬에만 사는 아마미멧도요처럼 그곳에만 특별히 적응해서 사는 생물을 직접 관찰하고 싶어요. 또 가지고 있는 이미지 때문에 미움받는 생물들이 ...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편지를 주고받으며 확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사람들은 이를 확률론의 효시로 보고 있다. 이렇게 대단한 페르마는 평생 얼마나 많은 논문을 썼을까. 놀랍게도 정답은 ‘1’. 단 한 편이다. 수학 연구는 변호사이자 지방 의원이었던 페르마의 취미 생활이었다. 페르마의 수학 능력은 아주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과학동아 독자들께 가장 먼저 보여드립니다. 여러분이 10년 뒤 이번 호를 다시 들춰보고 지금보다 더 놀라기를 바라봅니다. ‘아, 저때부터 현실이 SF를 앞질렀지!’ 하면서요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어김없이 큰 파도를 일으키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2024년 1월 발간한 기계기술정책보고서 ‘지능형 로봇 및 생성형 AI 동향 분석과 시사점’에서는 첨단로봇에 활용되는 AI 기술을 인식, 판단, 동작, HRI(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ion) 네 분야로 구분한다. 우선 로봇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