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거예요. 내가 일상에서 하는 작은 실천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도 볼 수 있고요. 환경 데이터를 읽고 기후 위기에 똑똑하게 대처할 준비가 됐나요? 그럼, 다 같이 출발~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공간에서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로봇에 달린 카메라가 찍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지요. 로봇은 2개의 팔로 환자의 혈압, 심박수를 측정해 조종자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 주사기 같은 의료 장비를 꺼내 부상자에게 적절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지요. 탱크처럼 무한궤도가 달려 있어 ...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해도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알아내는 방법이 없었다. 그저 2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계속 나눠볼 수밖에 없었다. 훗날 메르센 수가 정말 소수인지 아닌지도 이런 시행착오를 거쳐 얻을 수밖에 없었다. 1772년 오일러가 231-1이 소수라는 사실을 증명해 이 숫자는 96년 동안 ‘가장 큰 소수’라는 왕관을 ... ...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환경에서 먹이를 찾아 헤매며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으려 한다”며 “멀리서도 이끼류를 볼 수 있다면,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 칼로리소모를 줄일 수 있어 큰 이점이 된다”고 설명했다 ...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몸무게는 6~7kg 정도 되는 중형 펭귄이란다. 턱끈펭귄은 남극해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펭귄 중 하나야. 수명은 15~20년 정도고, 돌을 쌓아 올려 둥지를 만들고 살아간단다. 남극은 너무 춥지 않아? 남극은 추운 곳이지만 턱끈펭귄들은 남극에 살기 적합하도록 진화했어. 척박한 육지를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협동로봇의 주요 특징은 인간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장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던 기존 산업 로봇은 인간과 구분된 공간에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는 반면, 협동로봇은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함께 일한다는 차이도 있다. ‘로봇 바리스타가 커피를 내려주는 카페’나 ‘치킨을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한다는 뜻이다. 로봇과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그린 영화에도 이와 관련된 사례를 쉽게 볼 수 있다. 인간과 똑같은 안드로이드는 로봇을 인간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법적윤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누구나 로봇의 외형 또는 목소리를 통해 로봇임을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에 놀랐다”며 “전 세계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심각한 피해에 공감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구 온난화가 인간 때문임을 인정하고, 그에 대해 책임지려는 의미 있는 합의”라고 덧붙였습니다. 기후 손실과 피해 기금엔 현재까지 약 8억 달러(약 1조 500억 원)이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는 논문의 ‘DOI’입니다. DOI를 이용하면 인터넷에서 쉽게 논문 원문을 찾아 읽어볼 수 있죠. DOI가 뭐길래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할까요? DOI는 ‘Digital Object Identifier(디지털 객체 식별번호)’의 약자입니다. 한국 국민들에게 발급되는 주민등록번호처럼, 논문, 특허, 데이터 등을 구분할 수 있게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암호로 만들어서 주고받는다. OTT에서 보는 영상도 마찬가지다. 내가 결제한 영상을 나만 볼 수 있어야 하니까 암호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정보를 암호로 만들 때 타원 곡선 암호, 격자 암호 등 여러 종류를 쓰지만, 가장 많이 쓰는 건 RSA 암호다. RSA 암호는 1977년 미국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