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염
섬광
스파크
점화물
불빛
불티
빛남
d라이브러리
"
불꽃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없거든요. 버네트 박사는 “니트로셀룰로오스는 반응성이 큰 물질이라 앞으로 개발한
불꽃
의 안전장치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어요. 축제, 뼛속까지 친환경을 꿈꾸다! 2018년 5월 영국의 60여 개 음악축제는 플라스틱을 점점 줄여나가겠다고 약속했어요. 2021년에는 플라스틱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기갑술’이라는 화려한 액션도 알리타의 특징 중 하나다. 기갑술은 플라스마
불꽃
을 사용한다거나 주먹에서 초고주파를 발생시켜 적에게 충격을 주는 등 인간의 신체로는 절대 할 수 없는 기술을 구사하는 사이보그 무술이다. 그런데 알리타의 뇌는 인간의 뇌가 아니었던가. 사람의 몸으로 할 수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손을 닮은 고사리 | 이건 눈 맞은 고사리? 같은 성분으로 만든 결정이지만 고통의
불꽃
과는 사뭇 다르죠? 꼬불꼬불하게 말린 고사리 잎이 마치 주먹을 쥐고 있는 아기 손 같아요. 여러분은 어떤 모습이 보이나요? 산맥인 듯 보석인 듯 | 해열진통제 속 아세트아미노펜 결정을 확대한 사진입니다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그날 소리를 질렀던 시끄럽고 덩치 큰 사람이 저기 날아오르고 있는 저 로켓의 엔진에
불꽃
을 가장 많이 붙여본 사람 중 한명이기 때문이다. 이런 필자에게도 시험설비의 후류덕트(시험설비 보호를 위해 로켓의 소음과 플룸을 억제하는 장치)를 통해서만 봤던 짤막한 불기둥이 아닌, 동체보다 더 긴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우승자를 뽑는 서바이벌에 도입했다. 쇼미더머니의 화려한 변신을 들여다보자.
불꽃
튀기는 힙합 전쟁이 다시 시작됐다. 매년 새 시즌으로 찾아오는 국내 최초 힙합 오디션 ‘쇼미더머니’가 돌아왔다. TV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실력파 래퍼가 심사위원으로 합류하고 이전 시즌에서 아쉽게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때를 1촉광으로 정의했다. 독일의 공학자 헤프네(Hefner)는 1884년 아밀아세테이트를
불꽃
높이가 4 cm가 되도록 연소시키는 헤프네 램프를 고안했다. 헤프네 램프는 전구와 함께 당시 가장 실용적인 광도 표준으로 손꼽혔다. 1942년까지 독일의 촉광을 정의하는 데 사용됐다. 국제적인 광도 표준을 ... ...
Intro 2. SF 속 우주군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아크 건(Arc Gun)을 이용해 전류를 발사한다. 확실한 설명은 없지만, 방전으로 인해 전선에
불꽃
이 생기는 현상인 ‘아크 방전’에서 따온 이름으로 보인다. 영화에서는 사람이 아크 건에 맞으면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팽창해 폭발한다. SF 영화의 고전 ‘스타워즈’에 나오는 ... ...
[Future] Touch the Sun! 인류 첫 태양탐사선 파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로켓이 굉음과 함께 뭉게구름처럼 거대한 연기를 내뿜으며 발사됐다. 로켓은 길쭉한
불꽃
을 남기며 순식간에 하늘로 솟구쳤다. 이 로켓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세계 최초 태양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Parker Solar Probe·이하 파커)’가 실려 있다. 태양 가까이 접근하는, 사실상 인류 첫 ... ...
우즈베키스탄에서 수학 한류를 꽃피우다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25개의 체험 부스 외에 다양한 이벤트도 인기가 좋았습니다. 개막식과 함께 수학계의
불꽃
놀이와 같은 ‘점프스틱’(스틱밤)이 이번 행사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도우미의 도움으로 길게 연결한 점프스틱을 카운트다운 뒤에 튕기자 체험자들이 감탄을 연발했지요. 입구 중앙에는 상호지지구조물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바깥쪽은 1400도에 이를 만큼 부위에 따라 온도 차이가 크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불꽃
하단부에서 상층부로 갈수록 나노 다이아몬드 입자 수가 많아지고, 크기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다이아몬드는 금세 모습을 감춰버린다. 저우 교수는 “1분에 1억 개에 가까운 나노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