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층민
d라이브러리
"
사회의 쓰레기
"(으)로 총 19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죽지요.이렇게 살기 힘들어지면 결국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밖에 없어요.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배고픈 길고양이를 유혹하는 강력한 도구예요. 날카로운 발톱과 이빨로 뜯기도 쉽고요. 잘 보이지도 않고 힘들게 사냥해야 하는 쥐에 비하면 아주 진수성찬이지요. 사람에겐 좀 미안하지만 저희도 일단 ... ...
개미도 직업을 바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수렵 개미는 먹이가 들고 나는 개미집 입구가 주요 활동 영역이지요. 또 청소 개미는
쓰레기
를 버리는 장소에 가장 많이 오가고요. 재미있는 사실은 역할이 같은 개미들끼리똘똘 뭉쳐있다는 사실이에요. 특히 양육 개미나 수렵 개미는 서로 거의 섞이는 일이 없답니다. 연구팀은 밖을 오가는 수렵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사망률에서는 큰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쓰레기
채식’은 소용 없다의사들은 어떻게 ... 않을까. 하지만 여기에 함정이 있다. 바로 ‘
쓰레기
채식’의 유혹이다.언젠가 트위터로 준채식 ... 채식의 원래 의미를 드러내고, 반대로
쓰레기
채식의 문제를 잘 꼬집어 낸 말도 없다 ... 과자가 몸에 좋을 ... ...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달았어요.7반 학생들은 매달 숲해설사로부터 생태교육을 받고 관찰일기를 쓰기도 했어요. 나무 주변에 있는
쓰레기
를 치우는 일 또한 어답터의임무! 어때요? 가로수를 입양하고 싶은 마음이 샘솟지 않나요? 그렇다면 내년에 ... 무당벌레가 많이 죽는 곳을 표시했다.안 쓰는 전자제품 여기로~집에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집. 언젠가는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모은 결과, 온 집이
쓰레기
로 꽉 차버렸다.]
쓰레기
를 모으는 사람들이소희 양처럼은 아니지만 일부 수집가들도 특정 물건을 모으는 데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 주변에서 이상하게 보기도 한다. 이렇게 정상과 비정상적인 ... ...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모두가 함께 쓴다. 그런데 모두가 이기적으로 행동한다면 거리는 어떻게 될까? 마구
쓰레기
를 버리고, 가로수를 벨지도 모른다. 신호등이 고장 나거나, 도로가 파여도 아무도 고치지 않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모두가 함께 쓰는 곳이 황폐해지는 현상을 ‘공유지의 비극’이라고 부른다. 이는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년의 시간이 걸린다. 우주
쓰레기
가 다른 우주
쓰레기
와 충돌할 때마다 수많은 작은
쓰레기
가 더 생기는 악순환을 의미하는 ‘케슬러 증후군’도 국제
사회의
빠른 대응을 부추기는 이유 중 하나다.이와 관련 스위스 우주센터는 세계 최초의 우주
쓰레기
청소 위성 ‘클린스페이스원’을 5년 안에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자기 선택이니 뭐라 할 건 없지만. 옮겨가고 나서 원래 몸은 어떻게 하는데요? 죽여서
쓰레기
통에 버릴 건가요? 운동 좀 열심히 하고 약 잘 먹으면 앞으로 한참 더 살 수 있었을지도 모르는데.”나는 미소를 지었다.“생각보다 재미있는 토론이 되겠군. 의사들이 올 때까지는 시간도 있고…….”나는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위해서만 지구 자원을 이용하지 않는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쓰레기
를 묻기 위해서도 빈 땅을 찾는다. 작은 굴업도에까지 사람들이 관심을 두는 것도 그런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70억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저 멀리 떠 있는 물체를 보고 고래 지느러미인 줄 알고 기뻐하다가, 가까이 가 보니 바다
쓰레기
나 바닷새라 실망한 적도 많아요. 하지만 확실한 구별 방법이 있어요. 고래는 숨을 쉬기 위해 수면 위 아래로 오르락내리락 상하운동을 해요. 하지만 바다
쓰레기
는 수면 위에 그냥 둥둥 떠 있지요.Q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