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
묘사
진술
표현
암시
기재
표시
d라이브러리
"
서술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기본부터 알기 위해 유클리드의 을 읽었지. 기하 원론은 명료한 논리에 따라
서술
된 책이었어! 이후 수학에 매력에 푹 빠지게 됐지.”“우와, 그 어려운 내용을 혼자 공부했다고요?”“응. 그리고 대학 학부 과정이 끝날 때쯤 미적분 증명을 시작했어. 휴교령으로 고향에 돌아갔을 때는 ... ...
[지식] 엄상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중요하게 생각해요. 그래서 수학선생님께서는 수학문제를 풀 때도 글을 쓰듯이 조사와
서술
어까지 적어가면서 자세히 문제 풀이를 하도록 지도해 주셨지요. 이런 공부 방법이 수학적인 사고력을 높여준 것 같습니다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삼았다.일반상대성이론은 과학의 역사에서 크나큰 이정표가 됐다. 단순히 중력 현상을
서술
하는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시간과 공간과 물질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말해 주는 가장 깊이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우주가 어떻게 생겨나고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갈지를 말해 주는 근본적인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수학자 안지제가 1373년 제작한 산학서로, 곱셈이나 나눗셈 등 가장 기본적인 수학 개념이
서술
돼 있다. 세금을 관리해야 했던 조선시대 호조 산원들이 배워야 했던 필수 과목이었다. 양휘산법과 산학계몽은 이보다는 조금 더 어려운 계산법이 포함돼 있다. 특히 산학계몽은 고차 방정식이 나와있을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양자이론을 결합해 자연에 대한 완전한 이론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자연법칙을 통일해
서술
하려고 하는 물리학의 오랜 염원이다.두 번째 문제는 양자역학의 기초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론을 현재의 상태로 놓아 둔 채 의미를 명료하게 밝힐 수도 있다. 하지만 새로운 이론을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식성이나 농업, 협동 등 일상에서 친숙한 소재로 풀었다. 이야기 중심의 파격적인
서술
방식과 친절한 설명 덕분에 연재 당시에 고정 팬이 많았다. 이번 출간에 맞춰, 이 교수는 이 글들을 다시 1년 반에 걸쳐 다듬고 보충했다.이 책은 우리 인류의 ‘몸’과 행동의 기원을 파고든다. 그런데 시각이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활동이 필요하다.박형주 교수도 “시험문제도 단순히 유형을 암기해서는 풀 수 없는
서술
형 문제 위주로 내야 수학 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신학 시험 시간이다. ‘예수가 물을 포도주로 만든 기적이 상징하는 종교적, 영적 의미를
서술
하라’는 문제에 학생들이 머리를 싸매고 있다. 문학을 전공하던 3학년 조지 고든 바이런은 잠시 망설이더니 단 한 문장을 적고 유유히 교실을 빠져나간다. “물이 그 주인을 뵙고, 얼굴을 붉혔다(Water saw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게다가 조선 시대 사람들은 고추장과 같이 간단한 음식에도 강렬하고 진한 맛을 느끼고
서술
하는 경향이 있었다. 18세기는 오늘날 만큼이나 탐식의 전성시대였던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대한민국을 지지고 볶는 탐식 열풍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확실하게 밝힌 셈이다. 미라가 완성되기까지 총 7개월이 걸렸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가
서술
한 것보다 2개월이 더 걸렸다. 연구소 환경이 이집트와 달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Q 어떻게 실제 다리로 미라를 만들겠다고 생각했나A 비슷한 시도는 이전에도 있었다. 다만 성공하는 게 쉽지 않았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