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셀"(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나에게 상처주지 않길"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해결할 수 없는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대안으로 꼽힌다. 황 소장이 이끄는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는 환자의 세포를 사용하는 ‘자가세포치료제’가 아닌 다른 사람의 세포를 사용하는 ‘동종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동종세포는 자가세포보다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이 높기 때문에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첫 줍깅 탐사!줍깅탐사박시은 기자바닷가에서 첫 줍깅을 했어요. 쓰레기 갯수를 다 셀 순 없었지만, 엄청 많았어요. 특히 담배꽁초와 철못이 많았어요. 제가 줍깅한 쓰레기의 총 무게는 2.38kg이었답니다! 앞으로도 줍깅 열심히 할게요! 알루미늄 캡슐의 재활용!플라스틱 일기장정현 기자 엄마, ... ...
- [특집] 세상을 바꾼 10진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써야 했을 거야. 어렸을 때를 떠올려 봐. 하나, 둘, 셋물건을 셀 때 손가락을 접으며 하나씩 셌지? 10이 넘으면 다시 손가락을 펴며 세곤 했어. 손가락이 모두 10개이기 때문에 10을 기준으로 센 거야. 이렇게 10을 기준으로 수를 묶어 세는 방법을 ‘10진법’이라고 해. 수학자 ... ...
- [매스크래프트] #20. 오싹! 귀신의 집보다 더 무서운 비둘기수학동아 l2021년 08호
- 9까지의 순서를 익힐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비둘기의 이런 능력이 마찬가지로 숫자를 셀 수 있다고 알려진 붉은털 원숭이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했죠. 비둘기집 원리란? 또 다른 비둘기와 관련된 유명한 수학 이야기가 있어요. 만약 9개의 비둘기집이 있을 때 비둘기가 10마리 있다면 ... ...
- 수소차의 심장, 수소연료전지 기술의 최전선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내부 온도가 최대 80℃까지 상승한다. 김민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수소연료전지 셀 사이에 냉각수를 흘려 반응온도를 60~70℃로 유지한다”며 “수소연료전지 온도가 너무 낮으면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수소연료전지 소자가 부식돼 수소연료전지의 ... ...
-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5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있다. 광석에서 금속을 채취하듯 셀 덩어리를 용광로에 넣어 제련하는 ‘건식제련’과 셀을 산성 용액에 넣어 필요한 재료를 뽑아내는 ‘습식제련’이 있다. 3│모터 달린 신발을 신다, 인 휠 모터 시스템 미국 에너지부 산하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 따르면 내연기관차는 에너지 효율이 19% 수준인 ... ...
- [인터뷰] 전기차 성능의 핵심 배터리의 미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특허를 일본 토요타가 가지고 있어 일부 연구에 제약이 있다.황화물계는 전도도가 높고 셀 성능이 우수한 재료였기 때문에 전고체 배터리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데 쓰였다. 다만 수분에 취약해 공기 중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산화물계 재료는 전기화학적 안전성이 황화물계에 비해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하면 교실 뒤편에 붙어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지도만 떠올렸니? 그런데 세상에는 셀 수 없이 다양한 지도가 존재해. 주사위 모양부터 구불구불 뱀 모양의 지도도 있어. 왜 이렇게 다양한 지도가 있는 걸까? 지도도 타협을 한다?!메르카토르 도법으로 그려진 세계지도를 보면, 북쪽에 있는 섬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바코드 기술로 현미경 없이도 초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셀’ 6월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1.05.010‘식스코프(Seq-scope)’라고 불리는 이 기술은 DNA를 구성하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사이토신(C)이 만드는 패턴을 마치 바코드처럼 인식해 공간지도를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또 수학 모델링을 이용해 생체시계가 제때 작동하는 원리를 발견해 국제학술지 셀의 자매지 몰라큘라 셀(Molecular Cell)에 발표했습니다. 생체시계는 온도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런 성질은 1954년 발견됐으나 그 작동 원리는 수수께끼였습니다. 저는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수학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