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통"(으)로 총 1,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언어 개발에 주요 가치로 상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일방 소통’인 까닭에 원하는 것이 있으면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까지 고안해 언어에 녹여야 한다. 앞으로 더 많은 언어가 새로운 기술을 안고 생겨날 것이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기능에는 큰 차이가 없을 텐데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그건 바로 지역별로 발생하는 소통 방식 차이 때문입니다. 영상에서는 땅이 넓은 미국에선 온라인 문화가 활발하며, 땅이 좁은 한국에선 오프라인 문화가 우세한 탓에 이 현상이 메신저까지 이어졌다고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할 수 있게 돕는 ‘언어 AI’를 연구하고 있어요. 회의록을 작성할 때나 외국인 직원과의 소통을 위해 통역이나 번역을 해야 할 때 지금은 시간이 꽤 걸려요. 하지만 언어 AI는 회의를 녹음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텍스트화 해주고, 사투리도 알아들을 수 있어 단 몇 초 안에 회의록을 완성해요. 덕분에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안내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의 역할까지 생각한 듯합니다. Q. 은하 연구자이자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자로서 연구원님의 다음 목표는 무엇인가요? 제가 과학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해오며 느낀 큰 아쉬움은 일반 대중이 생각하는 과학과 실제 연구자가 생각하는 과학의 관심사 사이에 큰 간극이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방주 바깥의 위기에 방치된 사람들과 용케 방주에 올라 위기를 모면한 사람들이 서로 소통할 수 없다. 바깥의 사람들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것 같지만, 불완전한 수단에 의지해 현실 세계의 상황과 단절된 방주 속 사람들도 위태롭긴 마찬가지다. 피난처이자 감옥인 셈이다. 이 작품 속의 단절된 ... ...
- [Art Math] 수식과 그래프로 캔버스 채우는 화가 김현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채운 수식은 너무나도 아름다웠다. 기호와 숫자로 이뤄진 수식만으로 전 세계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것도 멋지다고 했다. 그래서 김 작가는 계속 썼다. 수업에 등장한 도형, 선, 기호, 숫자를 공책에 신나게 써내려 갔다. 그렇게 쓴 공책이 수십 권이다. 그의 어머니 김성원 씨는 “수학 점수를 잘 ... ...
- [독자기고] 과학이 수월해지는 프로젝트, 과학잡지 만들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온라인으로 진행한 적이 있다. 직접 만났다면 30분도 안 걸리는 일을 온라인으로 의사소통하며 진행하다 보니 꽤 많은 시간이 들었다. 지움 키 근처에 위치한 전원 버튼을 눌러 3일 동안 열심히 작성한 기사가 한 순간에 날아간 일도 있었다(깊은 좌절감을 맛봤다). 필자는 편집부장을 맡아 과학잡지 ... ...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것이다. 자신이 관심 있는 과학 이야기를 5분 정도의 짧은 이야기로 소개하는 과학 소통의 장을 만들고 싶다. 학생들이 자신의 과학 발명 활동을 꾸준히 공유하고, 서로를 통해 과학 발명의 최신 트렌드를 익히고, 아이디어를 주고받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이다. 과학동아와 나는 1986년 동갑내기다.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보기 드문 반응 양식이다. 장애보조기기 시스템의 ‘스트레스 레벨’은 사용자와 소통량에 반비례한다. 내내 50%를 상회하던 스트레스 레벨이 1시간 만에 30%대로 내려온다.사용자가 내 메시지를 받아들여 수분을 공급하기만 하면 추가로 20%대까지 내려갈 텐데. 그러나 우린 속도를 유지하며 급수대 ... ...
- [가상 인터뷰] 만나면 반갑다고 오른쪽으로~, 개 꼬리의 용도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결론을 내렸어요. 그럼 이번 대회에서 꼬리는 아예 안 쓰시나요?연구팀은 “개는 의사소통과 친근함을 표현하거나 파리 같은 해충을 쫓는 데 꼬리를 쓴다”고 말했어요. 중국 국립과학원 유전 및 발달생물학 연구소 용 장 박사 연구팀은 작년 8월 개가 모르는 사람 앞에선 왼쪽으로, 잘 아는 사람을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