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내복
속옷
내복
내의
d라이브러리
"
속내의
"(으)로 총 63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바닷물은 어는점이 강물이나 순수한 물보다 낮다. 바닷물에는 수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수온약층과 밀도가 급격히 커지는 밀도약층이 있다. 수온약층과 밀도약층을 동시에 고려하면 소리가 잘 전달되는 깊이를 알 수 있다.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대부분의 물질은 고체의 밀도가 액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현대 과학자들은 생화학을 통해 우리 몸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려고 한다. 동물이나 식물 같은 유기체를 세포수준에서 이해하는데 생화학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소화, 혈액, 물질대사, 호르몬 등의 연구도 활발하다. 또한 진화론, 환경문제, 범죄수사, 음식과 요리연구에서도 생화학을 다룬다. 이 ... ...
[물리]전하 세계에서도 에너지는 보존된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하의 세계에서도 해준 일과 에너지는 상호 전환된다.일과 에너지, 힘과 일의 관계를 잘 이해하면 전하의 에너지(전위)를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 전체를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다.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가) 에너지라는 단어는 그리스어의 en(‘안’이란 뜻)과 ergon(‘일’이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광합성의 비밀은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그런데 최근 그 비밀에 대한 단서가 제시됐다. 현대물리학의 한 축인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인 양자 결맞음이 그 단서다.인류는 지난 100년 동안 화석연료를 남용한 결과 연료 고갈에 따른 에너지 위기와 지구온 ... ...
[지구과학]해수의 이동과 엘니뇨현상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유체 속에 있는 물체는 전체 표면적에 압력을 받는다. 압력의 수평 성분은 전후좌우가 평형을 이루지만 수직 성분은 물체의 아래 면에서 위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는 힘보다 크다. 따라서 전압력(전체 누르는 힘)을 합성하면 위 방향으 ... ...
[물리]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차이점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운동량은 벡터량이라 상쇄될 수 있지만 운동에너지는 스칼라량이므로 그럴 수 없다. 전기장은 도체 내에서 차폐될 수 있지만 중력장은 한쪽 방향의 힘만 존재하므로 차폐할 수 없다.Q1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가) 운동에너지와 운동량은 모두 물체의 운동과 관계가 있지만 그 양은 다르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 입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비중이 커지고 문제 유형 또한 바뀌고 있다. 출제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보면서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미래탐구(www.mirae-academy.co.kr)는 영역별 강사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수능과 논구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화된 TFT를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과학고와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래탐구학원에서 지구과학과 물리를 기반으로 한 논구술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중·고등학교 과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개별적인 개념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다양한 논구술 문제를 개발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미는 힘과 당기는 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 지구 ... ...
월•E 가 밝히는 지구의 미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여기는지구의미래안녕? 내 이름은‘월-E’다. 내가 살고 있는 여기는 지구의 미래다. 자동차가 하늘을 날아다니고 빌딩들이 아찔하게 하늘을 뒤덮고 있을 것만 같은 지구의 미래 말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여기는 쓰레기가 바람에 나뒹굴고 곳곳에 쓰레기가 쌓여 빌딩숲을 이루고 있다. 미래의 지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메가스터디에서 물리와 과학 논·구술 수업을 하고 있다. 개념을 정확하고 깊이있게 이해하는 능력과 다수 개념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과학 학습에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빛이 꺾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넬의 법칙을 통해 빛의 굴절을 알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