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익숙한 솜씨
솜씨
기량
수공예
수세공
d라이브러리
"
손재주
"(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배울 수 있는 것이 90%라면 특허에도 나와 있지 않는 노하우가 10%인데, 일본은 이를
손재주
와 자체의 기술로 메꾸고 또 덧붙였다는 그의 설명은 우리의 과학 기술이 취해야 할 방법의 일단을 제시하고 있다.자동화의 결과 상대적으로 인원이 남아도는 일본은 그 인원을 연구원으로 활용하고 있어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생명탄생의 보금자리 「지구」를 보호하는 일은 인류최대의 과제. 쌍용의 「지구관」은 푸른 행성 지구의 소중함을 부각시키고 있다. 문명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주제로 하는 선경의 「이매지네이션관」에서는 인류가 지금까지 이룩한 각종 우주탐사의 결과가 자 ... ...
'건강 신발'로 불황탈출 묘책 내놓은 원인호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출품목으로 3번째에 꼽히는 게 신발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그간 너무 안이했어요
손재주
는 세계 최고로 쳐주는데도 OEM(주문자 생산방식)으로 그저 하청만 받는데 급급하다 보니까 우리 브랜드를 못키웠잖아요. 제가 만든 신발이 수출부진으로 위기상황에 빠진 우리 신발산업계에 활력을 줄거라고 ... ...
(1) 인간 오감(五感)을 기계에 이식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컴퓨터 오디오 비디오 등 모든 전자기기들이 빠른 속도로 「멀티미디어 」를 향해 통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컴퓨터 가전업체들이 이 기술개발에 기업의 성패를 건 한판 승부를 준비하고 있다.멀티미디어(multi-media)는 텔레비전과 컴퓨터에 이어 '제3의 문화적 충격'을 인류에게 던져줄 것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리가 동력원인 냉장고, 유전공학으로 만든 파란장미….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인간의 창조성은 어디까지 뻗어나갈까.21세기의 일상생활은 어떻게 달라지게 될까. 의식주 등의 기본생활은 과학기술의 발달과 관계없이 전통적인 모습이 그대로 유지될까.미국의 펭귄(Penguin)출판사는 최근 2001년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노동에서 도망가려는 시도는 3백여년 전부터 있었다. 1714년 앤여왕시절에 밀이라는
손재주
좋은 기술자가 여왕에게 자신이 그러한 기계식 필기기구를 만들어보겠노라고 말했다.기계가 글씨를 한자씩 찍어내는 원리가 최초로 나타났다. 그러나 밀은 그 완성을 보지 못했다. 실패의 원인은 찰스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해커의 역사는 50년대 MIT를 중심으로 대형시스템에 침투한 제1세대 해커, 70년대 퍼스널컴퓨터를 탄생시킨 제2세대 해커, 80년대 게임프로그램을 개발해 해커사업체를 발전시킨 제3세대 해커 등으로 구분된다.컴퓨터의 일부 분야에서 '해커'(hacker)라는 말이 엉터리 프로그래머, 컴퓨터광 등의 조소적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본래 낭비를 죄악시하고 검약을 미덕으로 삼아온 일본인의 특기다. 요컨대 경비절감과
손재주
활용이라는 긴축형의 생산에 관한한 세계에서 일본을 따르는 나라가 없다. 이 점에 국한시켜서 말한다면 미일간의 자동차경쟁의 결과는 너무도 뻔하다.낮에 다방 같은데서 빈둥거리는 사람이 없는 나라,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초주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으로 이어지는 고려의 장경들은 그 당시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기술을 보여준다. 인쇄기술은 상감청자 기술과 함께 고려기술의 발전을 대표하는 창조적 전통의 소산이다.고려의 목판인쇄기술은 대규모의 대장경 주판(雕板)사업으로 특징지어진다. 고려의 기술자들과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그들의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훈련과 경험을 통해 달라질 수 있다.1959년 12월 나는 미국의 마이애미에 있는 수족관에 간 적이 있다. 그곳에서 처음으로 돌고래가 지휘자의 신호에 따라 여러가지 묘기를 부리는 것을 보았다. 참 영리한 동물이라고 감탄하면서 흥미롭게 구경했던 기억이 지금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