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조"(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통 한지과학동아 l1995년 08호
- 기원전 830년 중국의 강태공이 곡식을 빻을 목적으로 돌절구를 발명했고, 종이의 시조로 불리는 채륜(蔡倫)의 묘에서도 돌절구가 출토됐으며, 채륜보다 약 2백년 후 왕은(王隱)이 지은 진서에 채륜이 낡은 베를 찧어서 종이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이 시기를 지나 우리 선조들은 종이 재료를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상서로운 구름이 골령의 남쪽에 나타났는데 그 빛이 푸르고 붉었다." 이것은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3년(서기전 35년)에 나타난 우리나라 최초의 오로라(aurora) 관측기록이다(三國史記 高句麗 本紀 制一 始祖 東明聖王 三年 秋七月 慶雲見鶻玲南 其色 靑赤).우리에게는 선조가 남긴 고대 천문현상에 ... ...
- 2. 고생대-중생대 5대 집단 멸종 사건과학동아 l1995년 05호
-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파충류 일부는 훗날 중생대 육상 환경을 지배한 공룡의 시조가 되었다.이 집단멸종 사건은 특히 육상 척추동물에 있어 삼첩기 중엽과 쥐라기 초의 급격한 적응방산(適應放散)의 조건이 되었다. 해양과 육상에서 다양한 새로운 생물 분류군이 진화하는 중요한 전기가 된 ...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것으로 여겨져 온 권위였다. 중국의 사마천은 '사기'(史記) 1백30권을 저술하여 정사의 시조가 되었다. 그의 글은 완벽했고 "잘못된 글자 하나라도 발견한 사람에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장담할 정도였다.로고스(Logos, 理性)의 나라 희랍의 '원론'은 역사의 나라 중국의 '사기'의 권위에 필적했다. 하지만 ... ...
- 최무선과학동아 l1995년 04호
- 화약과 화약무기의 개발에 앞장섰던 최무선을 선정했다. 화약은 물론 고대로켓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주화를 개발한 최무선의 업적을 요약해 싣는다.최무선은 고려말의 과학기술자로 충숙왕 12년(1325) 관리들의 봉급을 관리하던 곳의 관리였던 광흥창사 최동순의 아들로 태어났다. 과학분야에 많은 ... ...
- 옛지도과학동아 l1995년 03호
- 후기의 위대한 지도학자이며 그 후손 등에 의해서 계속 수정작업을 해온 지도 명문가의 시조다.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팔도지도로 불리는 도별도와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즉 우리나라 전도로 구분된다. 팔도지도는 각 도별도의 축척이 동일하게 되어 있고 그것을 이어 맞추면 우리나라 전도인 ... ...
- 인체 유전자 지도 완성 멀지 않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캐나다로부터 남미대륙 남단까지 분포하여 인디언과 인디오들의 선조가 되었다. 이때의 시조가 4개 그룹이라는 것이 최근 게놈해석의 결과다. 그 후에 두번째 이동한 사람들이 첫번째 자손들이 퍼져 있는 곳으로 끼어들어갔지만, 캐나다와 알래스카 북부지역 밖에 획득하지 못하고 다른 언어권을 ... ...
- 컴퓨터 첨단 영상기법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방송과 영화, 상업필름(C.F.)등의 두드러진 공헌이다.한국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의 시조로 다수가 인정하고 있는 것은 역시 캔 쥬스의 광고방송이다. 이를 보면, 컴퓨터그래픽은 어느 나라에서건 방송이나 영화 산업을 매개로 그 발전의 흐름을 잡아왔다고 할 수 있다. 간단히 짚고 넘어가면 이는 ...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남아 있다.우리나라에서는 2천여년 전부터 혜성관측의 기록이 있다. 그 첫번째가 신라 시조 9년, 즉 기원전 49년 3월에 혜성이 왕량이라는 별자리에 나타났다는 것이다. 왕량이라는 별자리는 지금의 카시오페이아자리인 W자 오른쪽 반을 가리키는 것이다. 중국에도 같은 자리에 꼬리가 긴별이 ...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2년 11월 1일 발족된 독일 육군 로켓 연구소에서 10여년의 개발 끝에 완성시킨 현대 로켓의 시조인 것이다. 독일 육군 로켓 연구소에서는 폰브라운 박사와 리델 등 10여명의 기술자와 공학자들이 1933년부터 로켓의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A-1 A-2 A-3 A-5 로켓에 이어 1940년부터 A-4, 즉 V-2 로켓의 개발에 착수 ... ...
이전4567891011 다음